earticle

논문검색

巵言의 언어원리에 함축된 『장자』의 사유구조 : 은유투사 개념의 맥락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On Way of thinking penetrated with linguistic principle of Zhiyan in Zhuangzi : focusing on context of the 'metaphorical projection'

박영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focus on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three expressions of 'Zhiyan(goblet words/pouring words)', 'Yuyan(imputed words)', and 'Chongyan(refeatable words) or Zhongyan(weighty words)' in Zhuangzi, and especially from the pragmatic function of 'zhiyan'. My purpose is to examine the basis of linguistic philosophy on the thought structure of Zhuangzi . Traditional commentators pointed out that the expressive functions of each of the so-called 'three saying-styles of Zhuangzi' in the chapter 'Yuyan' of each containing meaning in Zhuangzi, are defined differently. Sima Qian, famous historian of Han china, expressed the form of 'Yuyan' as the central linguistic style of expressing the text of Zhuangzi. However, come to the Song China, Lü Huiqing, literati in Song china, defined 'Zhiyan' as the central form of expression in the text of Zhuangzi. My paper defined Zhiyan as the core and fundamental thought principle of the entire language style of Zhuangzi, and supported the position that Yuyan and Chongyan are merely the two most representative expression modes of Zhiyan. In addition, I argued that Zhiyan expresses the thoughts contained in Zhuangzi's text and constructs the practical process of 'You(wondering)', 'Hua(changing/becoming)', and Wang(forgetting) as a thinking mechanism that guides the reader's thinking activity. Thus, there are two directions in the process of You: the process of 'Hua' in which thinking progresses from the 'Tao-jing' (the realm of the Tao, the Way)' to the 'Wu-jing' (the realm of things), and the 'Wang' process that flows from 'Wu-jing' to 'Dao-jing'. therefore, I argued that this two thinking processes of Zhuangzi's text are opposite direction, and revealed that these two processes correspond to two thinking aspects of the overall process of 'You'(flowing).

한국어

이 글은 『장자』의 ‘치언(巵言)’, ‘우언(寓言)’, ‘중언(重言)’이라는 삼언 체례의 언어적 특징과 기능에 주목하고, 특히 ‘치언’의 화용적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장자』의 사유구조의 ‘언어철학’적인 근거를 살펴 보려는 것이 목적이다. 전통적 주석가들은 『장자・우언』편에 이른바 『장자』 삼언(三言), 즉 우언(寓言), 중언(重言), 치언(巵言)이 각기 의미(meaning)를 담아내는 표현적 기능이 다르게 정의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다. 한대의 사마천(司馬遷)은 ‘우언’ 형식이 『장자』 텍스트를 표현하는 중심적인 언어체례로 표현했다. 그러나 송대에 이르러 여혜경(呂惠卿)은 ‘치언’이 『장자』 텍스트 표현의 중심 체례로 정의하였다. 본고에서는 치언이 『장자』의 전체 언어 스타일의 핵심이며 근본적 사유원리라고 규정하고, 우언과 중언은 다만 치언의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표현 양태라는 입장을 지지한다. 또한 치언은 장자의 텍스트가 품고 있는 사상을 표현하고, 독자의 사유실천을 안내하는 사유기제로써 ‘노닒(遊)’, ‘변화/생성(化)’, ‘잊음(忘)’의 실천과정을 구축하여, ‘도의 영역(道境)’으로부터 ‘사물의 영역(物境)’으로의 사유가 진행되는 ‘화’의 과정, 그리고 ‘물경’으로부터 ‘도경’을 향해 흐르는 ‘망’의 과정 두 가지 방향이 대립되는 사유과정이라는 점을 주장하였으며, 이 두 과정은 모두 ‘유’의 전체 과정의 두 가지 사유양상에 해당한다는 점을 밝혔다. 이러한 주장을 논증하기 위하여 소쉬르 이후의 현대 인지언어학의 성과와 라캉의 심리학, 그리고 들뢰즈의 언어철학의 방법과 개념들을 통하여 『장자』의 독법에 관한 핵심개념들을 ‘은유투사’라는 맥락에서 해명하고자 하였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장자』에서 ‘치언’의 역할
1) 「우언」편에서의 치언
2) 「천하」편에서의 치언
3) 「제물론」편에서의 치언
3. 은유투사: 일상적 은유로서의 치언
4. 치언적 사유의 구조
1) 언어의 일상성과 탈주 혹은 주이상스
2) 잊음(忘)과 됨(化) - 노닒(遊)의 두 가지 형식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영우 Park, Youngwoo. 성균관대학교/학술연구교수/유교문화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