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佛敎美術의 東傳과 唐代 前期의 文化 變動 - 7세기 唐代 印度風의 출현 배경에 대한 새로운 논의

원문정보

New influx of Buddhist art and cultural changes in the early Tang Dynasty - A review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Indian style in the 7th century

불교미술의 동전과 당대 전기의 문화 변동 - 7세기 당대 인도풍의 출현 배경에 대한 새로운 논의

소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power and medium that involved in cultural changes such as the spread of the Indian styles that emerged in the Tang in the late 7th century. Many scholars focused on monk Xuanzang, who returned to Chang’an in 645 with seven Buddha statues after a 17-year trip to India, as the figure who led the spread of Indian styles in the 7th century. In this study, I critically examined this view through related records of the time and the King Udayana statues produced in the Luoyang in the late 7th century. Furthermore, I argued that the dissemination of paintings from India by diplomatic missions such as Wang Xuance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Indian styles. Among the many materials they have painted in India were the Vajrasana Buddha Statue at Mahabodhi Temple in Bodh Gaya, and the stone of Buddha footprint. The two Buddhist icons were distributed to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Korea and Japan as well as Tang in the late 7th century. Another medium to look out for regarding the trend of Indian styles since the late 7th century is the Xiyu-zhi. This book was compiled by King Gaozong's order in 666, and it was a 100-volume book that contained objects from all over the West in writing and painting. Xiyu-zhi seems to have been circulated immediately after its compilation. A book summarizing the contents of Buddhist sites contained in Xiyu-zhi was immediately made by a monk. In addition, as shown in various existing “Miraculous Buddha images”, it spread widely to Dunhuang and Japan. As such, the Buddhist paintings drawn by the official diplomatic delegation of the state in India and the official book Xiyu-zhi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end of the Indian styles of the Tang Dynasty, which began in the late 7th century. In other words, the emperor power of the Tang Dynasty was the power that led to the trend and spread of the Indian styles.

한국어

본고는 7세기 후반 당나라에서 출현하는 인도풍의 확산이라는 문화변동에 개입하는 ‘힘’과 그 ‘매개체’를 탐색한 것이다. 과거 학계는 7세기 인도풍의 확산을 주도한 인물로 645년 17년간의 인도 여행을 마치고 7구의 불상을 갖고 귀국한 玄奘을 지목했다. 본 연구에서는 당시 관련 기록과 7세기 후반 낙양 일대에서 제작된 우전왕상의 사례를 통해 이와 같은 견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나아가 王玄策 등의 인도 使行團이 갖고 온 시각 및 물질자료의 유포가 인도풍 확산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논증했다. 그들이 인도에서 모사해 온 많은 자료 가운데 보드가야 정각상과 佛足石이 있었으며, 두 聖物은 7세기 후반 당은 물론 한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국가로 유포되었다. 7세기 후반 인도풍의 유행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하는 또 하나의 매개체는 『西域志』다. 이 책은 666년 고종의 칙령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서역 각국의 物象을 60권의 글과 40권의 그림에 담은 방대한 서적이었다. 『서역지』는 편찬 이후 곧바로 유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불교와 관련한 발췌본이 곧바로 민간에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현존하는 瑞像圖類의 그림에서 보듯, 돈황과 일본 등지로도 널리 확산되었다. 이처럼 7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당대 인도풍의 유행에는 국가의 공식적인 외교사절단이 인도에서 그려온 불교 조상의 모사도와 당 왕조의 官撰書인 『서역지』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다시 말해 인도풍의 유행과 그 확산을 추동 한 힘은 당대 皇權이었다.

목차

Ⅰ.머리말
Ⅱ. ‘印度風의 출현과 玄奘 전래 佛像의 관계’ 再考
Ⅲ. 印度使行團에 의한 視覺資料의 流入과 流布
Ⅳ. 勅撰 『西域志』의 유포와 문화 변동
Ⅴ. 문화 변동과 皇權: 맺음말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소현숙 So, Hyunsook. 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