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전기 腹藏의 특징

원문정보

Characteristics of Early-Joseon Bokjang(the Enshrinement of Votive Objects in Buddhist Images)

조선 전기 복장의 특징

이선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actices of bokjang(腹藏, the enshrinement of votive objects in Buddhist images or deposited votive objects) and jeoman(點眼, the eye-opening of Buddhist images) in Korea were developed and sustained in a completely different manner compared to similar practices in other countries because their related rituals were systemized by Josanggyeong(造像經, Sutras on the Production of Buddhist Images). This paper explores how Josanggyeong systemized and was reflected in the bokjang practices of Korea by focusing on huryeongtong(喉鈴筒, throat-bell containers) from among the early-Joseon bokjang items. First, the paper discusses how the form of a throat-bell container, which was developed before the publication of Josanggyeong by Yongcheonsa Temple in 1575, influenced the style of obobyeong(五寶甁, five treasure bott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form of a throat-bell container and the style of five treasure bottles were not unified, and diverse patterns existed. This diversification is presumed to be a result of Josanggyeong not specifying terms, forms, or styl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Joseon bokjang are compared to the binary structure of the lists of five-directional objects presented in the ‘List of Selected Bokjang Items to Be Enshrined’(腹藏入物抄錄) and ‘All the Objects to Be Enshrined’(所入諸色) entries of the “The Ritual of the Bokjang Altar for All the Buddhas and Bodhisattvas”(諸佛菩薩腹藏壇儀式) section of the Josanggyeong as published by Yongcheonsa Temple. The ‘List of Selected Bokjang Items to Be Enshrined’ adopted and reorganized the Goryeo Dynasty-era list of objects placed inside the five treasure bottles. It preceded the newly organized ‘All the Objects to Be Enshrined’ based on the Myogilsang taegyowang gyeong(妙吉祥大敎王經, Sutra on the King of the Great Teaching Which Is Sublime and Auspicious). The list of deposited five-directional objects in early-Joseon bokjang incorporated the binary structure of the lists from the Yongcheonsa Josanggyeong. This incorporation, however, occurred before the publication of the Yongcheonsa Josanggyeong. Third, the paper guesses at how the list of objects related to the directions changed in the early-Joseon bokj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abangju(四 方呪, four directional spells) and obanggyeong(五方鏡, five directional mirrors) emerged, replacing oryunjongja(五輪種子, five-wheel seed syllables) and jinsimjongja(眞心種子, true-mind seed syllables). The five directional mirrors appear to have been the last to be added to the list.

한국어

한국의 복장과 점안이 다른 나라와 차별화되는 독자성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조상경』을 통해 의식을 체계화시켰기 때문이다. 이에 『조상경』이 한국 복장에 어떻게 반영, 체계화시켰는지 조선전기 복장의 후령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후령통의 형태가 1575년 용천사 『조상경』 이전 완성된 만큼 오보병의 형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제시하였다. 조선전기에는 후령통의 형태와 오보병의 형식이 일원화되지 않고 혼재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이는 용천사판에서 용어 및 형태, 형식을 구체화 시키지 않음으로써 야기된 결과, 또는 다원화시키는 원인 등으로 추정하였다. 둘째, 용천사판 「제불보살복장단의식」의 복장입물초록과 소입제색에 나타나는 오방 물목의 이원적 구조와 조선전기 복장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복장입물초록은 고려시대의 오보병 안립 물목을 수용·정리한 것으로 「묘길상대교왕경」에 근거하여 새롭게 정리한 소입제색보다 시기적으로 선행하는 형식이었음을 제시하였다. 조선전기 복장의 오방 안립 물목은 이러한 양상을 수용하였으며, 그 변화시기가 용천사판이 간행되기 이전부터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방위 관련 물목이 조선전기 복장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추정하였다. 오륜종자와 진심종자 대신 조선전기 사방주와 오방경이 새롭게 등장하였으며, 물목 형성에 있어 오방경이 가장 늦게 정립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후령통의 등장과 오보병 형식의 다양화
Ⅲ. 오보병 오방 안립 물목의 변화
1. 『조상경』의 오보병 안립 물목 체계
2. 조선전기 복장의 오보병 안립 물목 구성
Ⅳ. 방위 구성 물목의 재정립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이선용 Lee, Sun-Yong.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