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포항 법광사지 금당의 평면 계획과 석조여래좌상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lan and Stone Buddha of Geumdang at Beopgwangsa Temple site in Pohang

김동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 of Geumdang(金堂) of Beopgwangsa Temple(法光寺) and the stone Buddha statue. Geumdang was confirmed to have a closed structure because it has an outer wall, inner wall, and rear wall. The center of Geumdang was divided into important spaces compared to the rim space by installing a green glaze brick on the floor. The space between the inner and outer walls is considered to be a place where various ceremonies are held. It is believed that another statue, such as the Kannon Bodhisattva, was enshrined on the back of the rear Buddha wall and worship was hel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Buddha statue is Bhumisparsha Mudra Statue. The total height of the Buddha statue is around 470㎝, and this size is estimated to have been planned from the beginning to make a the Sixteen-foot Buddha. Based on its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size, the Buddha statue is estimated to have been created in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846) when a large-scale reconstruction was carried out in Beopgwangsa Temple. The hair of the Buddha statue excavated from Geumdang was presumed to be the hair of a Buddha head made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given that there was no decoration. The construction measure used to make Geumdang and Buddha statues is Tang-ruler(唐尺). And it is estimated that Plan of Geumdang are related to the size of the Buddha statue. Unlike ordinary temples in Silla, Beopgwangsa Temple has both Geumdang and Buddha statues look toward the east. This characteristic is presumed to be related to the Huayan Thought.

한국어

본고에서는 법광사 금당의 평면 계획과 석조여래좌상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금당은 외진벽, 내진벽, 후불벽을 갖춘 매우 폐쇄적인 구조임을 확인했다. 금당의 내진부는 바닥에 녹유전을 설치하여 외진부와 공간간의 위계 차이를 둔 것으로 이해했다. 내진벽과 외진벽 사이는 요잡의례가 이뤄지는 공간으로 여겨지며, 후불벽 뒷면에도 관음보살상과 같은 별도 상을 모셔 예경이 이뤄졌을 것으로 보았다. 금당의 본존상은 가사를 편단우견으로 착의한 항마촉지인 석조여래좌상임을 확정했다. 불상의 전체 높이는 470㎝ 내외이며, 이 크기는 불상을 장육상으로 조성하기 위해 계획된 수치였을 것으로 생각했다. 석조여래좌상은 도상의 유행 시기, 양식적 특징, 크기를 통해 볼 때 법광사에 대규모 중창이 이뤄지는 9세기 중엽(846년경)에 조성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금당에서 출토된 불상의 나발(螺髮)은 계주(髻珠)가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신라 통일기에 제작된 불두(佛頭)의 것으로 추정하였다. 금당과 석조여래좌상의 조영척도는 모두 당척(唐尺,29.7㎝)이며, 불상의 크기는 금당의 높이나 평면규모와 관련되어 있음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법광사는 신라 왕경의 일반적인 사찰과 달리 금당과 불상이 모두 동향(東向)하는 특징을 보이는데, 유사 사례를 통해 법광사 불상이 화엄신앙과 관련되었음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금당의 기단과 평면 특징
1. 금당지의 현황
2. 상층기단 외장 : 전석축병용(塼石築竝用) 기단
3. 금당의 평면 구조와 조영척도(造營尺度)
Ⅲ. 금당의 석조여래좌상과 예불 방식
1. 석조여래좌상의 형식
2. 수인에 대한 재고
3. 금당 내 예불, 右繞
Ⅳ. 금당과 석조여래좌상의 관계
1. 금당 평면의 비례와 구조
2. 항마촉지인 석조여래좌상의 크기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하 Kim Dong Ha.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주무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