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Succession of Maritime Industrial Heritage and the Promotion of Tourism Resources in Busan and Masan, Open Port Cities
초록
영어
Since Busan opened its port in 1876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Japanese fishermen have moved to Incheon, Mokpo, Masan, and Gunsan, forming a free migration fishing village. Immediately after the annexation of Korea and Japan, Gyeongnam province accounted for 72.92% of the population of migrant fishing villages nationwide, which formed South Korea's largest migrant fishing village; As a result, modern fisher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began to be built around the coast, centering on these opening ports in Gyeongsangnam-do. However, compared to Incheon, Mokpo and Gunsan, the investigation and preservation of marine industrial heritage are currently insufficient. There are 50 modern heritage of the fisheries industry in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that is, the north and south ports, and 25 marine industrial heritages including mainly shipyards in the coastal area of Yeongdo. There are 15 marine industrial heritages in the port of Masan’s original city center, of which the modern fishery-related heritages include Masan Fish Market, a symbol of Korean fishery capital, and a guest warehouse. In the coastal areas of the original downtown of Busan and Masan, the fisheries industry has developed, and in order to derive successful regional regeneration of these old cities, it is necessary to devise ways to revitalize tourism by utiliz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where marine industrial heritage is accumulated. In particular, industrial heritage sites in Busan and Masan are located near the fish market, and in the case of Jagalchi dry fish market in Busan, modern buildings are being used as commercial facilities for local resid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list the marine industrial heritage in the original city centers of Busan and Masan through previous researches and field surveys and to devise a plan to revitalize tourism by referring to Yokohama's industrial heritage use cases.
한국어
구한말 1876년 부산이 개항한 이래 인천, 목포, 마산, 군산 등 개항장을 중심으로 일본 어민들이 이주하면서 자유이주어촌이 형성되었다. 한일병합 직후 경남은 전국의 이주 어촌 인구 가운데 72.92%의 비중을 차지하며 남한 최대의 이주어촌 지대를 형성하였다. 이들 경남의 개항지를 중심으로 동해안과 남해안 일대에 근대 수산업시설들이 해안가를 중심으로 들어서며 해양 산업이 발달하였다. 경남의 개항장인 부산과 마산은 구도심을 중심으로 수산 산업시설이 발달하였으나, 현재 인천・목포・군산에 비해 해양 산업유산 에 대한 조사와 보존이 미비한 실정이다. 부산 원도심, 즉 북항과 남항의 수산업 근대유산은 50개, 영도 해안 지역의 해양 산업 유산은 조선소를 중심으로 25개가 남아있다. 마산 원도심의 항구에는 해양 산업유산이 15개 남아있으며, 이 중 근대 수산업 관련 유산은 조선인 수산 자본의 상징인 마산어시장 과 객주창고가 있다. 특히 개항장 부산과 마산의 산업유산의 경우 어시장 인근에 위치하 며, 부산의 자갈치 건어물시장의 경우 근대건조물이 실질적으로 지역민의 상업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개항장 부산과 마산의 원도심 해안 지역은 수산업이 발달한 지역으 로 이들 원도심의 성공적 지역재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해양 산업유산이 집적된 지역 적 특성을 살려 관광활성화 방안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부산과 마산의 원도심 내 해양 산업유산을 기존의 보고서 및 현 지조사를 통해 일차적으로 목록화하고자 한다. 그리고나서 요코하마의 해양 산업유산 활용사례를 참조하여 조사된 1차 목록을 활용하여 지역의 역사와 주민의 삶과 연계된 관 광활성화 방안을 고안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개항장의 지역사와 주민들의 생업활동 과 연계된 해양 산업유산을 활용한 관광활성화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기존의 외양적 복 원에 치우친 지역사와 탈맥락화를 야기하는 도시재생의 문제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요코하마의 해양 산업유산 보전(保全)
Ⅲ. 부산 해양 산업유산과 관광활성화 방안
Ⅳ. 마산 해양 산업유산과 관광활성화 방안
V.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