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원문정보

Needs Analysis of Teachers’ about Local Education Community Spirit

권다남, 김대현, 정상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needs for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and, through this, devise a plan to form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sample data from a total of 170 teachers in Region B were collected and the teacher's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as identified through t-test in 4 areas such as locality, learning ability,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need for consciousness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test, Borich requirement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 total of 4 factors were identified, inclu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unique to our region, sharing of culture and values, respect for each other, and acceptance of the school's education needs.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items were the highest priorit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form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focused on exploring ways to form teachers'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한국어

이 연구는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교육공동체의식 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지역의 교사 총 170명의 표본자 료를 수집하여 지역성, 학습성, 관계성, 협력성 등 4영역에 대한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통해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성, 학습성, 관계성, 협력성 등 지역교육공동체의 식의 모든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필요 수준과 실행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 었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통해 서로에 대한 존중,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 정서적 유대감, 학교와 지역 간 서로 의지하는 것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우리 지역만의 지역적 특성, 우리 지역만의 사 회적 특성, 우리 지역만의 고유한 문화, 문화와 가치의 공유, 서로에 대한 존중, 지역사회 인적자원 에 대한 신뢰, 민주적인 갈등 해결,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등 총 8개 항목에서 요구도가 높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t검증,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종합 적으로 고려하여 우리 지역만의 지역적 특성, 문화와 가치의 공유, 서로에 대한 존중,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등 총 4개 항목이 지역교육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최 우선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 탐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인식 차이 및 요구도 분석
2.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The Locus for Focus 모델
3. 지역교육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한 교사의 요구도 우선순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권다남 Kwon Da Nam. 인제대학교 연구교수
  • 김대현 Kim Dae Hyun. 부산대학교 명예교수
  • 정상원 Jung Sang Won. 춘천교육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