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제강점기 친일 유림 단체 대동사문회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aedongsamunhoe, a pro-Japanese Confucian group in Japanese colonial era

서정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rprised by the March 1st Movement, Japanese imperialism began to change the way of governing Korea. In the name of ‘cultural rule’, various cultural activities of Joseon were guaranteed. In particular, organization establishment and publication of newspapers and magazines became active. The Japanese imperialism focused its efforts on making Confucian scholars into pro-Japanese groups as one of the ways to govern Joseon. As soon as Joseon was merged, Seonggyungwan was changed to Gyeonghakwon. In addition, various Confucian organizations were formed in Gyeongseong and other provinces by easing the standards for establishing Confucian organizations. This paper studies Daedongsamunhoe, a pro-Japanese Confucian group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focuses on the organization, members, and activities of this group. Daedong Samunhoe was the first Confucian organization to be formed during the ‘cultural rule’ period. It was established in January 1920 and was active for approximately five years, but it is important in studying pro-Japanese Confucian organizations activ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though there are many Koreans who served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will also be meaningful in that it can track the genealogy and activities of pro-Japanese Confucian scholars in that the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who can be said to be among the highest-ranking, are closely linked to Daedonghaghoe(reformed into Gongjagyohoe) and Imunhoe, a literary club. In addition, Daedongsamunhoe initially focused on the project of returning the property of Hyanggyo to honor sages and build shrines, establishing Daesunghakwon, a liberal arts university centered on Gyeonghak, and holding a memorial service to commemorate the 2400th anniversary of Confucius’ death. This will help to see the whole of Confucian groups such as Yudojinheunghoe, Joseonyugyohoe, and Yugyobusighoe, who worked in Japanese colonial era.

한국어

3⋅1운동에 놀란 일제는 한국의 통치 기조를 바꾸기 시작한다. ‘문화 통치’라는 미명 아래 조선의 문화 활동을 다양하게 보장했다. 특히 단체 설립과 신문⋅잡지 발행도 활발해졌다. 일제는 조선을 통치하는 방법 중 하나로 유림을 친일파로 만드는 작업에 힘을 쏟았다. 조선을 병합하 자마자 성균관을 경학원으로 변경했다. 또한 유림 단체의 설립 기준을 완화하여 경성과 지방에서 다양한 유림 단체가 결성되었다. 본고는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친일 유림 단체인 대동사문회를 연구하 되, 이 단체의 결성과 참여 인원,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대 동사문회는 문화통치 시기 가장 먼저 결성된 유림 단체이다. 1920년 1월 에 설립되어 활발하게 활동한 시기는 대략 5년여 정도 되지만, 일제강점 기에 활동한 친일 유림 단체를 연구하는 데에 중요하다. 일제에 부역한 조선인들이 많지만, 특히 가장 고위층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 유림 세력 의 활동은 대동학회(이후 공자교회), 문예 동호회인 以文會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친일 유림의 계보와 활동을 추적할 수 있다는 점 에서도 의미가 있다. 또한 대동사문회에서 초기에 역점을 둔 사업은 현철을 숭상하고 사당 를 건설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한 향교재산 환부, 경학을 중 심으로 하는 문과대학인 大成學院을 설립, 孔夫子忌辰40周甲追慕式 거행 등이었다. 이것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유도진흥회, 조선유교회, 유교부식회 등의 유림 단체의 전모를 조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대동사문회의 결성과 구성원
Ⅲ. 대동사문회의 활동과 사업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서정화 Suh, Junghwa. 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 HK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