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李富孫의 『易經異文釋』과 項安世의 『周易玩辭』 비교 고찰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Li Fusun(李富孫)’s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Xiang Anshi(項安世)'s Zhouyiwanci(周易玩辭)

이부손의 『역경이문석』과 항안세의 『주역완사』 비교 고찰

임재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by Li Fusun(李富孫) of the Qing Dynasty and Zhouyiwanci(周易玩辭) by Xiang Anshi(項安世) of the Song Dynasty. In Chapter 2 of the main text, Li Fusun (李富孫)’s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Yiwen(異文) were examined. The discussion in Chapter 2 was developed focusing on Li Fusun(李富孫)’s biography in the Qingshigao(清史稿), and I tried to prove the evaluation of Qingshigao (清史稿) with the related contents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In other words, Qingshigao(清史稿) evaluated that Li Fusun(李富孫) attempted to restore Guwen(古文) of Yijing(易經) through research on Yiwen(異文)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In Chapter 3, Xiang Anshi(項安世)'s Zhouyiwanci (周易玩辭) and Ci(辭) were examined. The discussion in Chapter 3 was developed focusing on the summary of Zhouyiwanci(周易玩辭) of Sikuquanshuhuiyao(四庫全書薈要). Siku(四庫) official assessed that Xiang Anshi(項安世)'s Yixue(易學) basically inherited Chengzi(程子)‘s Yixue(易學), but that did not mean that Xiang Anshi(項安世) accept uncritically Chengzi(程子)‘s Yixue(易學). Furthermore, Siku(四庫) official evaluated Xiang Anshi(項安世)'s Yixue(易學) as a combination of Yili(義理) and Xiangshu(象數). In Chapter 3, I tried to prove this evaluation of Siku(四庫) official on Zhouyiwanci(周易玩辭) with related contents of Zhouyiwanci(周易玩辭). Chapter 4 compares Yiwenshi (異文釋) of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and Wanci(玩辭) of Zhouyiwanci(周易 玩辭). The common point between Yiwenshi(異文釋) of Yijingyiwenshi(易經異 文釋) and Wanci(玩辭) of Zhouyiwanci(周易玩辭) is that both wanted to restore the original meaning of Yijing(易經), and the difference is the methodology to restore the original meaning of Yijing(易經). In other words, Yijingyiwenshi(易經異文釋) uses the methodology of philology and archaeological studies as its main methodology, and Zhouyiwanci(周易玩辭) uses the methodology of combining Yili(義理) and Xiangshu(象數) as its main methodology.

한국어

본 논문은 청대 이부손(李富孫)의 『역경이문석(易經異文釋)』과 송대 항안세(項安世)의 『주역완사(周易玩辭)』를 비교 고찰한 것이다. 본론의 2 장에서 이부손의 『역경이문석』과 이문(異文)를 고찰하였다. 2장의 논의는 『청사고(清史稿)』열전(列傳)」 유림(儒林)편에 나와 있는 이부손 열전 을 중심으로 전개하였으며, 『청사고』의 평가를 『역경이문석』의 관련 내 용으로 증명하고자 했다. 즉 『청사고』는 이부손이 『역경이문석』이문 (異文) 연구를 통해 『역경(易經)』의 고문(古文)을 복원하고자 하였다고 평 가했다. 3장에서는 항안세의 『주역완사』와 사(辭)를 고찰하였다. 3장의 논의는 『사고전서회요(四庫全書薈要)』의 『주역완사의 제요를 중심으로 전개하였다. 사고관신은 항안세의 역학이 기본적으로 정자의 역학을 계 승했지만, 그렇다고 해서 항안세가 정자의 역학을 묵수한 것은 아니라 고 평가하였다. 나아가 사고관신은 항안세의 역학을 의리와 상수의 겸 유로 평가했다. 3장에서 필자는 『주역완사』에 대한 사고관신의 이러한 평가를 『주역완사』의 관련 내용으로 증명하고자 했다. 4장은 『역경이문석』의 이문석(異文釋)과 『주역완사』의 완사(玩辭)를 비교 고찰하였다. 『역경이문석』의 이문석(異文釋)과 『주역완사』의 완사(玩辭)의 공통점 은 양자가 모두『역경(易經)』의 원의를 복원하고자 했다는 것이며, 차이 점은 『역경(易經)』의 원의를 복원하고자 한 방법론이다. 즉 『역경이문석』은 문자학과 고증학이라는 방법론을 주요한 방법론으로 사용하고 있으 며, 『주역완사』는 의리학과 상수학의 겸유라는 방법론을 주요한 방법론 으로 사용하고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언
Ⅱ. 이부손의 『역경이문석』과 異文
Ⅲ. 항안세의 『주역완사』와 辭
Ⅳ. 『역경이문석』의 異文釋과 『주역완사』의 玩辭
Ⅴ.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재규 Im Jae Kyu. 서울대학교 객원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