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江華學派 李匡師 家門의 家門文學 계승의 실제적 양상에 대하여

원문정보

A Study on Actual Aspect of Succeeding Family Literature by Family of Lee Kwangsa Family of Ganghwa School

강화학파 이광사 가문의 가문문학 계승의 실제적 양상에 대하여

이승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targeted on the selected poems of the members of Lee Kwangsa’s Jeonju Lee Family Deokcheongun Clan, which represent Ganghwa School among Soron Academic Circl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bstracts of their poems. This study examined the actual aspects of succeeding the poetic literature by dividing into “direct succession through poetry writing” and “indirect succession through selected poems.” In the “direct succession through poetry writing,” this study analyzed the long poems created by Lee Kwangsa and his two sons, Lee Geungik and Lee Yongik. Their poems were written in the same format of 90 semantic characters(韻). Their poems were also written in the similar tones and expressed their inner side straightly in the form of verbal message. These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long poems written by Lee and his two sons. In addition, the creation of the long poems extends beyond temporary exchange of poems. The format of 90 semantic characters is also utilized in creating other poems, and this shows continuity of creation. Lee enjoyed creating long poems and expressing is inner thoughts honestly during his exile at Puryong County. His tendency and method of creating poems were succeeded directly to his two sons. In the “indirect succession through selected poems,” this study targeted the poems from Hyeopjungjip(篋中集), compiled by Lee Sangsun to collect the poems of the ancestors. Then, this study sorted and analyzed the poems that show the continuous flow and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poetic literature. The representative poem is the several successive lines of verses(Yeongusi, 聯句詩) included under the subtitle of "Yeongujip” at the end of Hyeopjungjip(篋中集). The several successive lines of verses are created between Lee family’s father and son, uncle and nephew, brothers, and cousins. Like long poems, the several successive lines of verses were continuously created by the family’s Gwang Generation and Ik Generation. The poems also share the same creative backgrounds, which are training the poem and solidifying the bond of family members. The fact that the collection of poems was compiled by collecting several figures, instead of specific person of the family shows that the tradition poetic literature was continued in the level of family.

한국어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少論 가운데 江華學派를 대표하는 全州李氏 德泉君派 李匡師 家門의 구성원들이 창작한 漢詩와 구성원들의 漢詩를 초록한 詩選集을 대상으로 하여 詩文學 계승의 실제적 양상을 ‘창작을 통한 직접적 계승’과 ‘詩選集을 통한 간접적 계승’ 두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먼저 ‘창작을 통한 직접적 계승’에서는 李匡師와 그의 두 아들 李肯翊과 李令翊이 창작한 長篇古詩를 논의 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들의 작품은 90韻의 長篇古詩라는 동일한 형식으로 창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작품에서 느껴지는 口氣도 유사하였고, 傳言의 형식으로 자신들의 내면을 꾸밈없이 진솔하게 토로하는 표현 방식도 유사하다. 이러한 점은 이들이 창작한 長篇古詩가 지니는 공통적 특질이다. 뿐만 아니라 長篇古詩의 창작이 일시적인 酬唱에 그치지 않고, 같은 90韻의 형식을 다른 시의 창작에 활용한 점에서 창작의 연속성을 엿볼 수 있다. 이는 富寧 流配期에 長篇古詩를 즐겨 창작하며 자신의 내면을 진솔하게 담아내었던 李匡師의 作詩傾向과 創作方式이 그의 두 아들에게 직접적으로 계승된 측면이다. 다음으로 ‘詩選集을 통한 간접적 계승’에서는 李象先이 先代의 漢詩를 選集한 󰡔篋中集󰡕에 수록된 작품을 대상으로 그들의 詩文學에서 연속적 흐름과 공통적 특질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은 바로 󰡔篋中集󰡕 말미에 ‘聯句集’이라는 소제목 아래 수록된 여러 편의 聯句詩이다. 이 聯句詩는 李匡師 家門의 父子, 叔姪, 兄弟, 從行 사이에서 창작된 작품이다. 聯句詩 역시 일시적인 酬唱에 그치지 않고 家門內의 匡字行列과 翊字行列에 의해 지속적으로 창작되었고, 구체적인 창작 배경에는 子姪들의 漢詩 修鍊과 家門 구성원의 결속이라는 공통적 특질이 존재했다. 한 家門에서 특정 인물이 아니라 여러 인물의 漢詩를 선별하여 詩選集을 남긴 것은 이들이 家門의 범주에서 詩文學의 전통을 이어갔던 사실을 방증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머리말
Ⅱ. 李匡師家門의 詩會와 詩文學의 계승
Ⅲ. 詩文學계승의 실제적 양상
1. 창작을 통한 직접적 계승 – 長篇古詩
2. 詩選集을 통한 간접적 계승 – 『篋中集』의 편찬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승용 Lee Seung Yong.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