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o assess the ecological changes of Korean fir (Abies koreana E. H. Wilson)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analyzed over a 5-year period in a control group (outdoors) and in a treatment group where the temperature and CO2 levels were elevated to closely resemble RCP 4.5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annual branch length of A.koreana in the climate change treatment group over time. While climate change conditions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morphological differences of A.koreana leaves, they did influence the biomass of the leaves, suggesting that as climate change progresses, the productivity of A.koreana leaves may decline. On the other hand, the chlorophyll content in A.koreana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was higher in the climate change treatment group, whereas the photosynthesis rate, transpiration rate, water use efficiency and stomatal conductance was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an environment with elevated temperature and CO2 could influence an increase in stomatal density, but having a negative impact on photosynthetic reactions. Further research on stomatal density under each environmental treatment will be required to confirm this hypothesis. Additionally, as this study only observed changes in leaf biomass, further empirical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biomass of A.koreana under climate change conditions.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A.koreana is expected to weaken in the long term under elevated temperatures and CO2.
한국어
기후변화조건에서 구상나무의 생태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5년 동안 대조구(야외)와 RCP 4.5에 근접하게 온도 및 CO2를 상승시킨 기후변화처리구에서 생육 및 생리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처리구에서 구상나무의 년생별 가지 길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후변화 조건은 구상나무 잎의 형태적 차이 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잎의 생물량에는 영향을 주어, 기후변화가 진행될수록 구상나무의 잎 생산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한편, 기후변화 조건에서 구상나무의 엽록소 함량은 기후변화처리구에서 높은 반면, 광합성률, 기 공전도도, 증산율, 그리고 수분이용효율은 대조구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온도와 CO2가 상승된 환경이 기공밀도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나, 광합성 반응에는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이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환경 처리에서 기공 밀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잎의 생물량 변화만 관찰하였기 때문에 기후변화 조건 하에서 구상나무의 생물량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실증 연구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 로 사료된다. 결과적으로 장기간 상승된 온도와 CO2에서 구상나무의 환경 적응력은 약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실험 재료
2.2 기후변화 처리
2.3 생육 및 생리 반응 측정
2.4 통계 분석
3. 결과
3.1. 소지 길이
3.2 잎 형질
3.3. 엽록소 함량
3.4 생태 생리적 반응
3.5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4. 고찰
5. 결론
사사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