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라남도 고흥군 우량 산림습원의 군락구조 및 천이경향

원문정보

Community Structure and Vegetation Succession Tendency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이준혁, 이정은, 변준기, 안종빈, 김호진, 윤충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mmunity structure of two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Goheung-gun, Jeollanam-do, and to investigate their succession trends.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Z-M phytosociological method From May to October, 2023, and based on this data, the Actual vegetation map was created by categorizing communities. This resulted in the classification of six communities. namely, Rhynchospora faberi community, Alnus japonica-Molinia japonica community, Ilex crenata-M. japonica community, M. japonica community, A. japon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A. japonica community. The results of each layer's importance value (IV)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R. faberi community, that of R. faberi, an obligate wetland plant, was high. In the subtree and shrub layers of the other five communities, A. japonica, a key species in wetland ecosystems, and Pinus densiflora and I. crenata, both obligate upland plants, exhibited higher IV. In the herb layer, the IV of M. japonica, a representative species of intermediate wetlands, was notably high. The results of classifying all observed plant species in the survey area based on their wetland preference revealed that in the R. faberi community, the occurrence rate of obligate wetland plants was high. However, in the other five communities, the occurrence rate of obligate upland plants was predominantly observed. Excluding the R. faberi community, in the other five communities constituting the outstanding forest wetlands, the occurrence rate of upland plants among the forest plants was high. It was observed that M. japonica which typically appears during the transition of wetlands to drier stages, was flourishing, indicating that the wetland was undergoing vegetation succession and terrestrializ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전라남도 고흥군 소재 우량 산림습원 2개소를 대상으로 군락구조를 파악하고 그에따른 천이경향을 구명하 고자 수행되었다. 2023년 5월부터 10월까지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자료 를 토대로 군락을 분류하여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골풀아재비군락, 꽝꽝나무-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 진퍼리새군락, 진퍼리새군락, 오리나무-소나무군락, 오리나무군락의 총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 중요치 를 분석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인 골풀아재비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5개 군락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습지의 극상종인 오리나무, 절대육상식물인 소나무와 꽝꽝나무가, 초본층에서는 중간습원의 대표종인 진퍼리새의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조사지 내 출현한 모든 관속식물을 습지선호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골풀아재비군락에서는 절대습지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절대육상식물의 출현율이 높게 나타났다. 골풀아재비군락을 제외한 나머지 5개 군락에서는 우량 산림습원을 구성하는 식물 중 육상식물의 출현 비율이 높고, 습지가 건조화되는 단계에서 나타나는 진퍼리새가 번성하고 있어 습지의 천이 및 육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2.1 연구대상지
2.2 야외조사 및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현존식생
3.2 종구성
3.3 습지선호도에 따른 관속식물
4. 종합고찰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준혁 Jun Hyuk Lee. 공주대학교
  • 이정은 Jeong Eun Lee. 공주대학교
  • 변준기 Jun Gi Byeon. 국립백두대간수목원
  • 안종빈 Jong Bin An. 국립수목원
  • 김호진 Ho Jin Kim. 국립산림과학원
  • 윤충원 Chung Weon Yun. 공주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