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 discussions have centered around the protection of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part of that discourse, explores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s among schools, families, and local communities, focusing on teacher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Analysis of teacher data from the Seoul Teacher Cohort Study confirms the urgent recognition of educational activity protection, especially in elementary schools. Positive perceptions of protection were linked to teachers form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by school administrators also positively influenced protection perceptions. However, the collaborative culture among school members, as perceived by teachers, showed no correlation with educational activity protection. Furthermor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based on school levels and types of high scho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erent characteristics specific to each school level influence educational activity protection, indicating the need for differentiated approaches based on school levels and types of high schools. Additionally, the results emphasize the need to redefine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highlight the utility of the concept of co-production in explor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s within educational communities.
한국어
최근 교육활동보호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다. 본 연구는 그 논의의 일환으로써 학교-가정-지 역사회의 협력적 관계를 조명하는 공동생산이라는 관점을 차용하여, 학교 안팎의 협력 및 소 통과 교육활동보호 관계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서울교원종단연구 1차년도 교사 자료를 활용 하여 IPA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 교육활동보호를 시급한 정책과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학교 밖의 교육공동체 구성원인 학부모, 지역사회와 협력적 관계를 형성할수록 교육활동보호 실행에 대해 긍정적으 로 인식했다. 셋째, 학교 관리자의 리더십 및 소통에 대한 인식과 교육활동보호 역시 긍정적 인 관계를 보였다. 넷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 내 구성원들과의 협력적 문화는 교육활동보 호와 관련성이 없었다. 한편 학교급과 고등학교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변인 간의 상 관 크기 및 방향이 학교급과 고등학교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급 별로 가지는 내재적 특성의 영향으로 보인다. 이는 학교급과 고등학교 유형에 따라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차별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나아가 교육공동체의 협력적 관계를 모색하 는 데 공동생산 개념이 유용함을 시사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육활동보호
2. 공동생산과 교육활동보호
3. 연구가설
Ⅲ. 연구 방법
1. 분석 자료 및 분석 방법
2. 변수
Ⅳ. 연구 결과
1. IPA 분석결과
2. 변수의 기술통계량
3. OLS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