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20⋅30대 정규직 근로자의 조직의 소셜미디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직무만족도와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 구성원 간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ocial Media Privacy Concerns on Job Satisfac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Regu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Trust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박지혜, 장혜연, 오성모, 조재희

한국PR학회 PR연구(구 홍보학연구) Vol. 28 No. 1 2024.03 pp.33-61

doi:10.15814/jpr.2024.28.1.33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ncerns about privacy on social media within organization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ale and female employees in their 20s and 30s. The study also investigates the role of trust in supervisors, subordinates, and peers as potential mediators in this relationship.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full-time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Data was collected from 207 respondents using a professional survey compan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then analyzed to confirm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The concern about privacy on social media within the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rust in supervisors. On the other hand, trust in supervisors has been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bserved in terms of trust between subordinates or peers. Therefore, the primary influence of social media privacy concern on job satisfaction and emotional commitment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is mediated through trust in supervisors. Conclusions Concerns about privacy on social media within an organization have a significant and detrimental impact on the trust supervisors have in their employees. This trust, in tur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how committed employees feel towards the organization. Trust from colleagues and subordinates, on the other hand, did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ocial media privacy concerns primari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through their trust in their supervisors.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20⋅30대 남녀 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의 소셜미디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조직원의 직무만족도 및 정서적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상사신뢰, 부하신뢰, 동료신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서울, 경기, 인천에 거주하는 20대 및 30대 정규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전문 조사업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N = 207)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변수 간 경로분석을 통해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조직의 소셜미디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상사신뢰에 유의미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상사신뢰는 직무만족도 및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하신뢰와 동료신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조직의 소셜미디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는 주로 상사와의 신뢰를 통해 조직원의 직무만족도와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있다. 결론 및 함의 조직의 소셜미디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가 상사신뢰를 통해 직무만족도와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상사와의 강화된 신뢰 및 소셜미디어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최소화를 통한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은 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도와 정서적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해 준다.

저자정보

  • 박지혜
  • 장혜연
  • 오성모
  • 조재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이용 방식은 연계기관의 정책을 따르고 있습니다.

      • 원문보기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