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among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tools utilized were sexual knowledge measurement tool by Jeon(2004), sexual attitudes measurement tool by Ho(2009),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measurement tool by Jo(2014). A total of 300 nursing college students were surveyed, and 229 responses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s post 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IBM SPSS Statistics 21.0.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sexual knowledge, and it was evident that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education is appropriate during lower academic years. Additionally, the indication that higher sexual knowledge corresponds to higher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suggests the ongoing necessity for sexual education to enhanc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this study could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aimed at improving nursing college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229부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Jeon(2004)의 성지식, Ho(2009)의 성태도, Jo(2014)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 성 태도,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상관 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여학생의 성지식이 높았으며, 생식건강증진행위 교육은 저학 년이 적절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지식이 높을수록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높아 생식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을 위한 상담과 교육에 활용할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
5. 자료분석
6.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성지식, 성태도 및 생식건강증진행위 정도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의 차이
4. 성지식, 성태도 및 생식건강증징행위 간의 상관관계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