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원문정보

Influencing Factors Stress in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홍희정, 신복순, 최성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before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urveyed on third-grade students who were about to undergo their first clinical practi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22, 2023 to January 10, 2024, with a total of 191 nursing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Perceived stress scale(Pss), Self-leadership, and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GICC)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21.0.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r=-.29, p=<.001)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r=-.40, p=<.001).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levels of nursing students before clinical practice were influenced by factors such as gender,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ese variables explained 33.7% of the variance in pre-clinical stres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can help reduce stress before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첫 임상실습을 앞둔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12월 22일부터 2024년 1월 10일 까지 간호대학생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스트레스(Pss),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GICC) 도구를 사용 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스트 레스는 셀프리더십 (r=-.29, p=<.001), 의사소통능력(r=-.40,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계적 다중회귀분석에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는 성별, 학업 만족, 의사소통능력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 로 나타났고, 이 변수들의 설명력은 33.7%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전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겠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연구 대상
3. 연구 도구
4. 자료 수집방법
5. 자료 분석방법
6. 윤리적 고려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수준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차이
4. 대상자의 스트레스, 셀프리더십, 의사소통능력 간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Ⅳ. 논의
Ⅴ. 결 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홍희정 Hee Jung Hong. 정회원, 세브란스 병원 간호사
  • 신복순 Bok Soon Shin. 정회원,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초빙교수
  • 최성희 Sung Hee Choi. 정회원,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