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간호대학생의 신생아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연구동향(2011년∼2023년)

원문정보

Research Trends in Neonatal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최성희, 김상희, 김순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related to neonatal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of domestic nursing students. It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For literature collection, a total of 17 journals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a search using (‘Newborn Simulation’) AND (‘Nursing Student’ OR ‘Nursing College Student’ OR ‘Student Nurse’) in 6 domestic electronic database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t started with 7 journals from 2011 to 2015 and decreased slightly to 5 journals from 2016 to 2020 and 5 journals from 2021 to 2023. The research design was mostly quantitative with a total of 16 journals(94%). Among them, there were 15 intervention journals(88%), 1 descriptive research journals(6%), and 1 mixed method journals(6%). The key topics in simulation practice were high-risk newborns with 9 journals(52%),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ppeared with 3 journals(18%), neonatal care with 3 journals(18%), normal newborn care with 1 journal(6%), and neonatal emergency airway care with 1 journals(6%). The main outcome variables were clinical performance, accounting for 5 journals(19.2%), followed by practice satisfaction 3 journals(11.5%). clinical competency and practice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conclusion,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required, such as expansion of nursing students' neonatal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repeated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 간호대학생의 신생아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문헌수집은 국내 6개 전자 데이터베이스에서 (‘신생아 시뮬레이션’)과 (‘간호학생’ OR ‘간호대학생’ OR ‘학생간호사’)로 조합하여 검색한 결과 총 17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2011년∼2015년 7편으로 시작하여 2016년∼2020년 5편과 2021년∼2023년 5편으로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설계는 양적연구 총 16편(94%)으로 중재연구 15편(88%), 서술적 조사연구 1편(6%)이고, 혼합연구는 1편(6%) 이었다. 시뮬레이션 주요 사례 주제는 고위험 신생아 간호 9편(52%), 호흡곤란증후군 중환아 간호 3편(18%), 신생아 간호 3편(18%) 정상 신생아 간호 1편(6%), 신생아 응급 기도 간호 1편(6%)으로 나타났다. 주요 결과 변수 및 적용효과는 임상수행능력 5편(19.2%)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 순으로 실습만족도 3편(11.5%)이었고 적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신생아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확대, 반복연구, 질적연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이 요구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2. 분석대상 문헌선정기준 및 배제기준
3. 문헌검색 및 선정
4. 분석틀
5. 자료 분석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주요 시뮬레이션 사례 주제
3. 신생아 시뮬레이션의 주요 결과 변수 및 효과분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성희 Sung Hee Choi. 정회원, 목포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상희 Sang Hee Kim. 정회원,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 김순희 Sun Hui Kim. 정회원,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