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시의 시적 리듬과 번역 - 韓譯과 日譯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Poetic Rhythm and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한시의 시적 리듬과 번역 - 한역과 일역을 중심으로 -

장보, 김성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hythm of Chinese poetry, based on 5- and 7-syllable metrical patterns, is realized wh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Japanese. First, we examined the rhythm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hythm translation in Korean and Japanese. Although research on the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ranslation trends have often overlooked the prosody and rhythm of the original text, primarily emphasizing semantics. Thus, as a formal component, this study focuses on rhythm theory in the translation methodology of Chinese poetry. Vi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hythmic structures of poetry from Korea, China, and Japan, this study endeavors to present the rhythmic correspond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s. First, we compared and examined the syllable-timed systems that form the common foundation of formal poetry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trical characteristics arising from linguistic differences are generally indicative of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In particular, traditional poetry in Korea, China, and Japan each have different prosodic qualities based on feet meter, tonal patterns, and syllable counts. While there is general agreement on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prosodic structures in Chinese poetry translation, metrical translation cannot serve as a viable alternative. However, Chinese poetry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did not exist only as Chinese literature but has also been shared as a common literary heritage in East Asia, where reading Chinese poetry in Classical Chinese has traditionally been enjoyed in Korea and Japan. Regarding the metrical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in both Korea and Japan, in Korea, postpositions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word order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and recite Chinese poetry, while in Japan, Chinese characters were read by adding hiragana characters and engraving the meaning through reading. Through this aspect of metrical readi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oetry have a “syllable-timed system” as a common basis for rhythm theory. Furthermore, at the level of rhythm theory, similarity in metric rhythm was confirmed through isochronous foot division. At the level of rhythm theory, similarity in note rate was confirmed through isochronous rhythmic unit. Chinese poetry has a syllable-timed system of 2·2·1 or 2·1·2 for 5-character poems, and 2·2·2·1 or 2·2·1·2 for 7-character poems by caesura. In terms of rhythm, the 5-character poem is composed of the three feet meter of “OO OO O*,” and the 7-verse poem is composed of the four feet meter of “OO OO OO O*.” This is followed by caesura. This division is governed by tonal structure, where two characters comprise one rhythm unit, with the final character satisfying the tonal requirement along with the following one-character pause. Thus, the caesura based on rhythm ensures that each unit maintains isochrony, thereby constituting the metrical reading of Chinese poetry. In traditional Korean poetry, a consistent structure exists with three and four feet meter patterns, while in Chinese poetry, 5-character poems consist of three rhythmic units, and 7-character poems consist of four rhythmic units, thus forming a consistent rhythmic foundation throughout the poem. I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s, translating 5-character poems into three feet meter and 7-character poems into four feet meter patterns while taking the original semantic rhythm to effectively convey the intended meaning into account seems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in Japanese translations, focusing on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evitably emphasizes the conveyance of meaning; therefore, responding in terms of metric rhythm is somewhat difficult. However, traditional Japanese poetry possesses both two and four feet meter patterns, thereby demonstrating a strong adherence to metric consistency, which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reciting in three feet meter patterns through balanced utilization of pauses and excessive letters. Therefore, in Japanese translations, the current study attempts rhythm translation based on the original rhythmic correspondence, which seems to present no difficulty in conveying the intended meaning. From this perspective of rhythmic analysis, in both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s of Chinese poetry, rhythm can be reproduced by ensuring accurate conveyance of the original meaning while also considering an understanding of the rhythm of Chinese poetry as the basis for translation. Consequently, a harmonious sense of aesthetics could be realized.

한국어

본고는 5언과 7언의 음수율을 기반으로 하는 한시의 리듬이 한국어와 일본어로 번역될 때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원시 의 리듬을 고찰하고 한역과 일역의 리듬 번역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시 번역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지금까지의 번역은 의미를 중심으 로 하여 원시의 운율과 리듬에 대해서는 소홀히 여긴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시의 번역 방법론을 리듬론에 초점을 맞추어 한․중․일 삼국 정형시의 리듬을 비교 분석하여 한역과 일역의 리듬적 대응 방법론을 제시해 본 시도이다. 본고는 우선 한․중․일 정형시의 공통 기반인 음수율적 체계를 비교 고찰하였 는데, 그 결과 그 언어적인 차이점에서 기인하는 율격적 특성은 번역 불가능성의 연장선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중․일 전통시가는 각각 음보율, 고 저율, 음수율의 다른 율격적 자질을 갖고 있어 한시 번역에 있어서 율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은 대체로 동의하나 결론적으로 운율 번역은 대안이 될 수 없 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한자 문화권에서의 한시는 중국 문학으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공동 문학으로 한국과 일본에서는 그동안 한시를 한자어로 율 독하고 향유하였다. 한․일 양국의 한문 율독을 살펴보면 한국은 한국어의 어순에 맞추어 현토화를 통해 한문을 이해하고 한시를 읊은 것에 비해, 일본은 훈독으로 한문에 가명을 달아 한자의 뜻을 새겨서 율독하였다. 이러한 율독 양상을 통해 한․중․일 시가는 율격론의 공통 기반으로 음수율적 체계를 갖고 있으며 리듬론 의 차원에서 또한 등시성을 이루는 음보를 통해 음보율상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한시는 돈(頓)에 의해 5언시는 2․2․1 또는 2․1․2, 7언시는 2․2․2․1 또는 2․2․1․2의 음수율적 체계를 지닌다. 리듬의 측면에서 5언시는 ‘OO OO O*’의 3 음보 율조를 이루며 7언시는 ‘OO OO OO O*’의 4음보 율조로 구성되는데, 이는 돈에 의한 것이며 뒤에 휴지가 온다. 이처럼 음률 기반의 돈 분할은 두 글자가 1음 보로 마지막 한 글자는 행말 휴지와 아울러 1음보를 충족한다. 시행의 각 음보는 이로써 ‘등시성(等時性, isochrony)’을 이루는 것이 한시의 음영 법칙이다. 한역(韓譯)의 경우 한국 고전시가의 3음보와 4음보 계열의 음보율적 대응을 감 안해 볼 때, 5언절구는 3음보로, 7언절구는 4음보로 번역하되 원시의 의미 리듬을 고려하면서 의미량을 전달하는 것이 적합해 보인다. 이에 반해 일역(日譯)의 경우 에는, 훈독을 중심으로 하여 의미 전달에 치중할 수밖에 없기에 음보율적 대응에 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지만 일본 전통시가는 2음보(2박절)와 4음보(4박절)를 지 니며 음보율의 고정성이 강하고, 휴음과 자 넘김의 균형적인 활용을 통해서 3음보 의 율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시의 일역에 있어서 본고는 원시의 리듬적 대 응으로 음보율 번역을 시도해 보았으며 그 결과 의미량의 전달에도 무리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리듬론의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앞으로 한시의 한역과 일역에 있어서 원시의 정확한 의미 전달과 함께 한시 리듬의 이해를 바탕으로 번역시에도 리듬이 재현 가능하며 이로써 의미와 형식이라는 두 축을 모두 놓치지 않으면서 조화로운 미감 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ㆍ중ㆍ일 시가의 리듬론
Ⅲ. 한시의 韓譯과 日譯
I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장보 Zhang, Bo.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 김성문 Kim, Seong-moon.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