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라남도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및 경쟁우위요인 분석 - 기초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n the Image and Competitive Advantage Factors of Agricultural Co-Brand in the Jeollanam-do - Focused on the Basic Local Governments -

김신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and competitive advantage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agri cultural co-brands in the era of decentralization. In the re search method, the spatial scope is targeted at Jeollanam -do. The subject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o-brand of agricultural products of 23 municipalities in Jeollanamdo. Based on the buyer-seller relationship development th eory, the research method used secondary data and inter views with the head of the agricultural administration. T 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 and image of the co-brand of agricultural products of each lo cal government mainly emphasized word marks+graphic elements. Second, most of the symbols were green + blu e, and the image of clean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pr oducts appealed to consumers. Third, the enactment of or dinances for fostering agricultural co-brands, which can be seen as the public responsibility of the head of the org anization, was found to be 65%. Fourth, the image of the agricultural co-brand was also introduced through the ho mepage in five regions(21.7%). Fifth, Damyang and Bose ong were the best in terms of competitive advantages of agricultural co-brands. Sixth, Goheung, Gokseong, and H aenam were underestimated in terms of market competiti ve advantage. These areas have a geographical indicatio 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nact ordinances to pro mote the brand partnership of agricultural co-brands bet ween local governments and production organizations. T his causes a positive functional effect in the region.

한국어

Dole, Sunkist, Zespri과 같이 글로벌 농산물 브랜드의 국 내시장 진입, 멀티 유통경로 그리고 농산물 브랜드 수명주기 의 단축 등 불확실한 농산물 시장 환경에 직면해 있다. 본 연 구는 전라남도 지자체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및 경쟁 우위요인을 분석하여 시장의 경쟁우위를 높이려는 목적이다. 연구방법에서 공간적 범위는 전라남도이다. 연구대상은 이 지역의 23개 시군의 농산물 공동브랜드로 국한한다. 연구 방 법은 구매자-판매자 간의 관계 이론을 토대로 2차 자료(지자 체 홈페이지, 공공기관의 보도자료) 그리고 지역 농정과장의 인터뷰를 활용한다. 연구의 결과, 첫째, 각 지자체 농산물 공 동브랜드의 형태 및 이미지는 워드마크+그래픽 요소를 강조 하였다. 둘째, 심벌의 컬러는 그린+블루가 대부분이었고, 청 정 및 친환경적 농산물의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였 다. 셋째, 단체장의 공공적 책무로 볼 수 있는 농산물 공동브 랜드 육성 조례의 제정은 65%이었다. 넷째, 농산물 공동브랜 드의 이미지도 홈피를 통해 소개되는 비율은 5개 지역(21. 7%)에 지나지 않았다. 다섯째,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경쟁우 위요인(항목; 단체장의 리더십, 글로벌 네이밍, 조례 제정, 품 질 매뉴얼, 브랜드 소통)에서 담양과 보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여섯째, 고흥, 곡성 그리고 해남은 시장경쟁우위에서 저평가 되었다. 이들 지역의 품목별 지리적 표시제 국가인증마크는 우월성, 희소성, 차별성, 전통성, 지역성을 소비자에게 어필하 고 있다. 향후, 지자체와 생산농가 조직 간의 농산물 공동브 랜드의 브랜드 제휴를 촉진시킬 수 있도록 조례 제정이 요구 된다. 요컨대, 지자체-생산조직 간의 브랜드 제휴는 고용창 출, 사회복지 균등화, 부동산 지가의 상승, 청년 농부의 스마 트팜 창업 붐 조성, 매력적인 귀농ㆍ귀촌 지역으로의 부상이 라는 순기능 효과를 얻는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이미지
2.2.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구매자-브랜드 관계
2.3.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선행연구
3. 농산물 공동브랜드 현황, 이미지 및 경쟁우위요인 분석
3.1. 전라남도의 농업 현황
3.2. 농산물 공동브랜드 이미지의 현주소
3.3.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경쟁우위요인 분석
3.4. 전라남도 지자체 공동브랜드의 토론
4. 결론
4.1. 요약 및 전략적 함의
4.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신애 Kim, Shine. 성결대학교, 경영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