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Porous companion and Daily Politics for People-Centered Community Care
초록
영어
This thesis argues the necessity of humanities community care in response to the super-aged society and super-personalized era. People-centered care is not simply based on the satisfaction of materials or the benefit of services, but on a sense of a companion who recognizes one person as being and a performative practice that creates a safe place he wants. From this point of view, humanities community care can be formulated as a process in which people living in the region consider each other as friends and neighbors and establish a 'good relationship'. In other words, a good relationship is a qualitative indicator of the humanities community that cannot be quantified and quantified, and a humanities strategy to realize a good life concretely. While reviewing the German 'multi-generation housing' and the Seoul 'Daldream Arts School' as specific examples related to this, I discuss the potential of humanities community care that can already exist or sufficiently exist in Korean society. German multigenerational housing is creatively practiced in cities and villages by state capital, and the Seoul 'Daldream Arts School' is implementing humanities community care in neighborhoods through the private horn root movement. In the process of asking ourselves questions about the unstable reality as we cling to success and competition, and finding ways to reallocate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around us to have a good relationship together, we can become the subjects of daily politics for me and your good life, not politics in a grand sense.
한국어
이 논문은 초고령화 사회 및 초개인화 시대에 대응하는 인문커뮤니티케어의 비전과 철학을 논의한다. 인문커뮤니티케어는 지역에 사는 이들이 서로를 친구이자 이웃으로 여기며 좋은 삶-관계를 만드는 과정으로서 사람을 중심에 둔 돌봄 체제를 뜻한다. 이는 단순히 물질의 충족이나 서비스의 수혜가 아니라, 사람을 존재 자체로 존중하고 서로 돌보는 안전한 커뮤니티의 형성을 목표로 삼는다. 이때 좋은 관계는 커뮤니티케어의 다양한 지역적⋅장소적 특색을 고려한 구체적인 실행단위이자, 계량화·수치화할 수 없는 커뮤니티케어의 성공여부를 평가하는 질적 지표로 삼아져야 한다. 필자는 독일 ‘다세대주택’과 서울 ‘달꿈예술학교’의 사례를 검토하면서 한국사회에 이미 존재하거나 충분히 존재할 수 있는 인문커뮤니티케어의 잠재력을 논한다. 독일 다세대주택은 국가 자본에 의해 도시와 마을에서, 서울 달꿈예술학교는 민간의 풀뿌리 운동을 통해 동네에서 인문커뮤니티케어를 창의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필자는 두 사례의 시사점을 자발적 참여와 다공적 반려로 특징짓는다.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서 인문커뮤니티케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균일하고 동질적인 가족의 친밀권을 넘어 자발적인 연결의 욕망을 따라 저마다 다른 형태와 리듬으로 상호의존할 수 있는 관계의 친밀권을 구성해야 함을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