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극한가뭄 대비 영산강 하류의 정수처리를 위한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lower reaches of Yeongsan river were analyzed for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using the water quality measurement data (January 2018 to May 2023)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K-water. The water quality items of dissolved oxygen, NO3-N, hardness, Pb, As, and Hg were evaluated as suitable as water sources. The suspended solid, turbidity, and total phosphorus could be purified in the standard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coagualtion, sedimentation, and filtration. It was analyzed that pH, total coliforms, fecal coliforms, and harmful cyanobacteria could be treated through water treatment chemicals (pH adjusters), chlorination treatment(pre-chlorination, mid-chlorination), and enhanced filtration(microstrainer, two-step coagulation, multi-layer filtration) in the standard water treatment process. Organic materials, NH3-N, and harmful cyanobacteria-derived substances were evaluated to require the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bio-treatment, adsorption(granular activated carbon), ozonation, advanced oxidation process, and membrane filtration.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lower reaches of Yeongsan river as a water sour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nhanced and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환경부 및 수자원공사에서 제공하는 수질측정자료에 기반하여 영산강 하류 수계의 최근(2018년 1월~2023년 5월) 수질특성을 수질항목별로 분석하였고, 상수원으로 활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적절한 정수처리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용존산소, 질 산성질소, 경도, 납, 비소, 수은 등의 수질항목은 대체로 양호하여 수질기준을 만족하였고, 상수원으로써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평가 되었다. 부유물질, 탁도, 총 인 등의 수질항목은 응집·침전·여과 등의 표준정수처리공정에서 처리가 가능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 다. 수소이온농도, 총 대장균군, 분원성 대장균군, 유해남조류 등의 경우에는 표준정수처리공정에서 약품투입(pH 조정제), 염소산화 처리(전염소처리, 중간염소처리), 여과공정 강화(마이크로스트레이너, 2단 응집, 다층여과지) 등을 통해 정수처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 단되었다. 영산강 하류 수계에 포함된 유기물질, 암모니아성 질소, 유해남조류 기인 물질 등은 표준정수처리공정으로 처리가 어렵고, 생물처리, 흡착처리(입상활성탄), 오존처리, 고도산화, 막여과 등의 고도정수처리가 필요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영산강 하 류 수계를 상수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표준정수처리공정의 개선·강화 및 고도정수처리공정의 도입 등을 검토할 필요가 있겠으며, 본 연구결과는 이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문
I. 서론
II. 연구방법
1. 대상지역 및 측정지점
2. 연구자료 및 분석방법
III. 결과 및 고찰
1. 하천수의 생활환경기준 평가
2. 하천수 및 먹는물 수질기준 평가
3. 유해남조류 및 관련 항목 평가
IV.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