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ervices have started to integrate with K-POP, leading to the full-scale provision of virtual services based on the metaverse. Among them, virtual idols in the metaverse are gaining attention.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virtual character of 'Aespa', a prominent virtual idol,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dol characters and viewing immersion and con-tinuous viewing intention. To accomplish this, we conducted a survey aimed at users who have watched Aespa and analyzed a total of 221 survey responses using SPSS 26.0 and SMART PLS 3.0.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dol characters were confirmed to be technicality, design, attractiveness, and musicality. Among these factors, technicality, attractiveness, and musicality influence viewing immersion, while technicality also affects continuou view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the growth and expansion of virtual idol services within the metavers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new cultural industries and cultural services that integrate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the metaverse, and for the creation of strategies
한국어
디지털 신기술의 발전과 비대면 서비스의 확장은 K-POP과 융합하면서 메타버스 기반의 가상서 비스가 본격적으로 제공되기 시작하였고, 그 중에서도 메타버스 속 가상아이돌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상아이돌 캐릭터의 특성이 시청몰입과 지속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실증 분석하기 위해 대표적 가상아이돌인 ‘에스파(Aespa)’의 가상캐릭터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에스파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총 221부의 설문조사 데 이터를 SPSS 28.0과 SMART PLS 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분석 결과 아이돌 가상캐릭터의 특성은 기술성, 디자인, 매력성, 음악성 4가지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기술성, 매력성과 음악성은 시청몰입에 영 향을 미치며, 기술성은 지속시청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메타버스 기반 의 가상아이돌 서비스의 성장과 확대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메타버스를 포 함한 디지털 신기술과 융합의 새로운 문화산업 및 문화서비스를 개발하고 성장하는 전략 수립의 기초 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배경
2.1 가상아이돌
2.2 가상아이돌의 특성
2.3 시청몰입
2.4 지속시청의도
3. 연구설계
3.1 연구조사 설계 및 연구방법
3.2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3.3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표본의 특징
4. 연구결과
4.1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
4.2 구조모델 평가
4.3 연구가설 검증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