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 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 비교 분석 - 식습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Comparative Analysis of Dietary Life Guidelin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of Health Belief Levels for Health Behavior Practices of 20s’ Women based on Health Belief Model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

이형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etary life guidelin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of health belief levels for health behavior practices of 20s’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After we ha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wo 20s’ women in Seoul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5th to October 15th, 2021 20s’ women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belief level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t salty, low calori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health functional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Second,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enefit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traditional Koran f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ird,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 salty, low calorie)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Also, Eating habits(eating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Forth, Eating habits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ave basic data to improve health behavior practices for 20s’ women

한국어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 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습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2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접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함께 서울 지역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건강기능식품) 건강신념 수준(식이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 념 수준(인지된 이익,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습관(식품선택 습관)은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습관(식 행동)은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습관(식품선택습관, 식 행동)은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대 여성들을 위한 건강 행동 실천력을 향상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건강신념모델
2.2 건강 행동 실천
2.3 식습관
Ⅲ. 연구 조사 방법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2 표본자료 수집 및 분석방법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항목
Ⅳ. 실증분석
4.1 표본의 특성
4.2 측정 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4.3 상관분석
4.4 가설검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 초록

저자정보

  • 이형주 Lee, Hyoung-Ju. 경기대학교 한국산업경제연구소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