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Attitudes on Entrepreneurship - Entrepreneurial Gender Differences -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attitude as a cognitive factor on starting a business using 2002~20222 survey data from the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EM). Our panel fixed effects results show that, being compared to the effect of cognitive factors in OECD member countries, in Korea, the proportion of adults who recognize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or capabilities needed to start a business or fear of failure is relatively higher, the proportion of female entrepreneurs is relatively higher. On the other hand, higher proportion of adults with the intention to start a business results in lower proportion of female entrepreneu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rder to revitalize the economy in response to low birth rate and aging trends, female entrepreneurship can be more active if an environment is created to help recognize entrepreneurship opportunities or strengthen the capabilitie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experience necessary for starting a business.
한국어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가 정신 모니터(GEM)의 2002~2022년 설문자료를 이용해 인지적 요인으로서 기업가적 태도가 창업에 미치는 효과를 기업가의 성별에 따라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분산성을 고려한 패널 고정효과 분석 결과에 따르면, OECD 회원국에서 는 창업 의도를 가진 성인의 비중이 증가할수록 남성 기업가와 비교해 여성 기업가가 창업에 참여하는 비중이 감소하였다. 이는 창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창업 의도가 실제 창업으로 이어지는 비중이 남성에서 더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한편 OECD 회원국과 비회원국을 모두 포함하는 전체 표본에서는 실패의 두려움으로 창업을 꺼리는 성인의 비중이 높을수록 여성 창업가의 비중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여성 기업가가 창업 실패의 두려움에 상대적으로 더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준다. OECD 회원국에서 인지적 요인의 효과와 비교해 우리나 라에서는 창업 기회 혹은 창업 역량을 인지하거나 창업 실패의 두려움을 인지한 성인의 비중이 높을수록 여성 기업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높고, 창업 의도를 가진 성인의 비중이 높을수록 여성 기업가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낮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저출산, 고령화 추세에 대응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창업 기회를 인지하거나 창업에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 등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여성 창업이 더 활성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창업을 계획하거나 준비하는 여성 기업가가 창업 활동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면 창업을 통한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도 증가할 것이다. 한편 코로나19 발생 이후 남성과 여성 기업가 모두에서 창업 의도가 창업 활동으로 이어지는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기업가적 행동과 태도: GEM APS를 중심으로
2.1 기업가적 행동
2.2 기업가적 태도
Ⅲ. 실증분석
3.1 분석 자료 및 모형
3.2 분석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국문 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