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노인의 우울수준 별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 및 주당 운동시간의 영향력 검증

원문정보

Verification of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the Influence of Weekly Exercise Time According to Latent Profiles of Depression Levels of Elderly

정은석, 오재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group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levels in the elderly, verify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verify the influence of weekly exercise time. For this purpose, 4,403 people aged 65 or older came to mind among the 8th composition study data from the KLoSA, and file analysis was explained using the Mplus 8.7 & Spss 23.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ve latent profiles were named based on the depression levels in the elderly: no depression group, depression tendency group, mild depression group, moderate depression group, and severe depression group.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depression level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life satisfaction of all groups except the moderate depression group vs severe depression group. Th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of no depression group, depression tendency group, mild depression group, moderate depression group, and severe depression group. The results of verifying whether the weekly exercise hours predict changes in the depression levels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no depression group from the severe depression, moderate depression, mild depression, and depression tendency group, an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depression tendency group from the severe depression and moderate depression group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depression tendency group from the mild depression group an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mild depression group from the severe depression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Looking at the specific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ion was the change from the severe depression group to the no depression group.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여 삶의 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고, 주당 운동시간의 영향 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 연구패널 8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4,403명을 선정하였 고, Mplus 8.7과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우울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수는 5개로 우울 없음 집단, 우울 경향 집단, 경증 우울 집단, 중등도 우울 집단, 중증 우울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우울수준 별 집단 간 삶의 만족도 차이 검증 결과, 중등도 우울 집단 vs 중증 우울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의 삶의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우울 없음 집단, 우울 경향 집단, 경증 우울 집단, 중등도 우울 집단, 중증 우울 집단 순으로 삶의 만족도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주당 운동시간이 우울수준 및 삶의 만족도의 변화를 예측 하는지 검증한 결과 중증우울, 중등도 우울, 경증우울, 우울 경향 집단에서 우울 없음 집단에 속할 확률과 중증 우울 및 중등도 우울 집단에서 우울 경향 집단에 속할 확률이 가장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경증 우울 집단에서 우울 경향 집단 및 중증 우울 집단에서 경증 우울 집단에 속할 확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를 살펴본 결과 중증 우울 집단에서 우울 없음 집단으로의 변화를 가장 크게 예측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변인 및 방법
3. 자료분석 및 통계방법
Ⅲ. 결과
1. 기술통계량 및 상관분석
2. 허리 및 무릎통증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류
3. 우울수준 및 삶의 만족도 잠재프로파일 예측요인의 영향력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은석 Chung, Eun Seok.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 오재근 Oh, Jae Keun.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