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raditional Arts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 Focusing on Early Childhoo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s in the Tongyeong Region -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igimsae of Yukjabaegitori, focusing on the lyrics of
한국어
본 연구는 유아 예술경험 영역의 효율적인 지도방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 영오광대 콘텐츠(탈춤, 가면놀이, 전통악기)와 영유아의 자람을 돕는 전통놀이로 누리과정 예술 경험 영역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연구 방법은 누리과정 예술경험 영역을 반영한 유아 대상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통영시 소재 유아 교육기관의 만 3-5세 유아 200명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프로그 램의 실행을 통해 전통 예술교육은 유아의 정서 및 태도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 였다. 둘째, 본 프로그램이 아름다움과 예술에 관심을 가지고 창의적 표현을 즐길 수 있는 예술 경험의 목표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이 유아가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예술 적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통합교육을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2023 교육과정에서 유아 문화예술교육
2. 유아 전통예술 교육의 개념
3. 용어의 정의
Ⅲ. 유아 대상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1. 유아 대상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설계
2. 유아대상 전통예술 교육프로그램 적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