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Restoration Theory of Eugène Emmanuel Viollet-le-Duc and its Temporality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19th century France in which Eugene Emmanuel Viollet-Duc's restoration theory was formed. And we discuss the temporality inherent in the concept of ‘restauration’ that he defined. A work of art is born in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time it was first produced, but its appearance and function change due to the effects of ‘time.’ The action of time also forces us to redefine the concept of ‘restoration’ of a work of art from a current perspective. Violler-le-Duc presented a modern definition of ‘restoration’ based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academic progress of the 19th century. ‘Restoration’, as defined by him, is a scientific methodology that investigates buildings from an ‘archaeological’ perspective, dismantles them ‘anatomically’, and then reconstructs them in a style with organic consistency. This study analyzes Viollet-le-Duc's restoration practices and literature and examines the temporality of modernity and anachronism in Viollet-le-Duc's concept of ‘Restoration’. While breaking away from France's existing restoration practices and following Viollet-le-Duc's vision to form the foundation of modern restoration, we will be able to reconsider the history of the production and reception of works of art and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oration and time.
한국어
본 연구는 외젠 에마뉘엘 비올레르뒤크의 수복이론이 형성된 19세기 프랑스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 보고 그가 정의한 ‘수복(Restauration)’ 개념에 내재된 시간성을 논의한다. 예술작품은 그 작품이 처음 제작된 시기의 사회적 조건 속에서 태어나지만, ‘시간’의 작용들로 인해 그 외형과 기능이 달라지게 된다. 시간의 작용은 또한 예술작품의 ‘수복’ 개념을 현재적인 관점에서 재정의 하도록 만든다. 비올레 르뒤크는 19세기의 산업혁명과 학문적 진보에 근거하여 ‘수복’의 현대적 정의를 제시하였다. 그가 규정한 ‘수복’ 이란 건축물을 ‘고고학적’ 관점에서 조사하고, ‘해부학적’으로 해체한 후 유기적 일관성 을 가진 스타일로 재구축하는 과학적인 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비올레르뒤크의 수복 실천과 문헌을 분석하여 그의 ‘수복’ 개념에서 현대성(modernity)과 아나크로니즘(anachronisme)이라는 시간성을 고 찰한다. 프랑스의 기존 수복 관행에서 벗어나 현대적 수복의 기틀이 형성하고자 했던 비올레르뒤크의 시선을 따라가는 동안, 우리는 예술작품의 제작과 수용의 역사를 재고하며, 수복과 시간의 관계를 사유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비올레르뒤크의 수복 이론의 형성
Ⅲ. 비올레르뒤크의 수복 개념과 시간성
1. 고고학과 해부학을 적용한 현대적 수복
2. 과학적인 상상력과 창조적인 아나크로니즘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