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 주제-한·중 학술교류와 통·번역 담론

한국어 상표지 ‘-어 오-’의 중국어 번역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Chinese translation of Korean Aspect ‘-e o-’

유쌍옥, 김지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how the verb category of the preceding verb in actual translated texts may influence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Korean grammatical form ‘-e o-.’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first collected newspaper texts to build a Korean-Chinese parallel corpus. The analysis of the Chinese translation patterns of ‘-e o-’ revealed that it is primarily translated into Chinese using the temporal adverb ‘yizhi’ and the markers ‘zai,’ ‘zhe,’ and ‘xialai.’Subsequently, the study analyzed the combination patterns of achievement verbs, completion verbs, and action verbs with ‘-e o-’, ‘yizhi,’ and the markers ‘zai,’ ‘zhe,’ ‘xialai’ through actual translation case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Chinese translation patterns of ‘-e o-’ vary depending on the verb category. ‘-e o-’ combined with achievement verbs, which have combinatory constraints with ‘zai,’ ‘xialai,’ and ‘zhe²,’ are primarily translated into ‘yizhi’ and ‘zhe¹.’ However, ‘-e o-’ combined with completion verbs, which can be combined with ‘zai’ and ‘xialai,’ is not translated into ‘xialai’ and ‘zhe¹’ due to the lack of semantic congruence between completion verbs and the conveyed meaning of ‘-e o-.’ Instead, it is mainly translated into the Chinese temporal adverb ‘yizhi’ and the marker ‘zai.’ ‘-e o-’ combined with action verbs, which only has combinatory constraints with ‘zhe¹,’ exhibits diverse translations into Chinese as ‘zhe¹,’ ‘zai,’ ‘xialai,’ and ‘yizhi.’

한국어

본 연구는 신문 번역텍스트에서 선행동사의 동사부류가 한국어 상표지 ‘-어 오-’의 중국 어 번역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신문 텍스트 한·중 병렬 말뭉치에서 ‘-어 오-’는 주로 중국어 시간부사 ‘一直’, 상표지 ‘在’, ‘着’, ‘下來’로 번역되는 양상을 보였다. 선행 동사의 동사부류에 따라 ‘-어 오-’의 중국어 번역 양 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달성동사와 결합하는 ‘-어 오-’는 ‘在’, 下來’, ‘着²’와의 결합 시 제약 을 받으며 주로 ‘一直’, ‘着¹’으로 번역되었다. 상표지 ‘着¹’과 ‘下來’는 완수동사와 결합은 가능 하지만, 완수동사와의 결합으로 나타내는 상적 의미가 ‘-어 오-’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완수동사와 결합하는 ‘-어 오-’는 ‘下來’, ‘着¹’으로 번역되지 않고 주로 중국어 시간부사 ‘一 直’, 상표지 ‘在’로 번역되었다. 마지막으로 행위동사와 결합하는 ‘-어 오-’는 ‘着¹’와 결합 제 약을 가져 ‘着¹’을 제외한 ‘在’, ‘着²’, ‘下來’, 시간부사 ‘一直’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는 양상 을 보였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어 오-’의 상적 의미와 신문 텍스트에서의 중국어 번역 양상
3. 선행동사와 ‘-어 오-’, ‘在’, ‘着’, ‘下来’, ‘一直’의 결합 양상
4. 선행동사의 동사부류에 따른 ‘-어 오-’의 중국어 번역 양상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쌍옥 Liu, Shuangyu. 중국 북경제2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전임교수
  • 김지혜 Kim, Jihye. 중국 북경제2외국어대학교 한국어학과 외국인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