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Original Article

AERMOD를 활용한 건강위해성평가 및 배출저감제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Health Impact Assessment and Emissions Reduction System Using AERMOD

박성수, 김덕한, 김홍관, 천영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impact on nearby risidents by selecting the amount of chemicals emitted from the workplace among the substances subject to the chemical emission plan and predicting the concentration with the atmospheric diffusion program. Method: The selection of research materials considered half-life, toxic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vailable monitoring station data. The areas discharged from the materials to be studied were selected as the areas to be studied, and four areas with floating populations were selected to evaluate health risks. Result: AERMOD was executed after conducting terrain and meteorological processing to obtain predicted concentrations. The health hazard assessment results indicated that only dichloromethane exceeded the threshold for children, while tetrachloroethylene and chloroform appeared at levels that cannot be ignored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Conclusion: Currently, in the domestic context, health hazard assessments are conducted based on the regulations outlined in the “Environmental Health Act” where if the hazard index exceeds a certain threshold, it is considered to pose a health risk. The anticipated expansion of the list of substances subject to the chemical discharge plan to 415 types by 2030 suggests the need for efficient management within workplaces. In instances where the hazard index surpasses the threshold in health hazard assessments, it is judged that effective chemical management can be achieved by prioritizing based on considerations of background concentration and predicted concentration through atmospheric dispersion modeling.

한국어

연구목적: 사업장 주변에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양을 선정하여 대기확산 프로그램으로 농도를 예측하 여 인근 주민들에게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물질의 선정은 반감기, 독성, 이용 가능한 측정소 자료의 유무를 고려하였다. 또한 연구대상물질에서 배출되는 지역을 연구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유동인구가 있는 4개 지역을 선정하여 건강위해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AERMOD를 구동하기 위하여 지형 및 기상 처리를 실시 후 예측 농도를 구하였다. 위해성 평가 결과 어린이에서만 디클로로메탄이 초과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테트라클로로에틸렌과 클로로포름은 어 린이와 성인 모두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 국내 건강위해성평가는 “환경보건법”의 규정에 따라 위해지수가 일정 기준을 초과할 경우 위해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향후 화학물질배출 계획서 대상물질이 2030년에는 415종으로 확대되어 사업장에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위해성 평가에서 위해성지수를 초과하는 경우 대기확산 모델링을 통해 배경농도와 예측농도를 고려하 여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화학물질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연구방법
연구절차
연구결과
대기확산모델 처리 과정
대기확산모델 결과
건강위해성평가
고찰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성수 Seong-Su Park. Graduate Student, Program in ET&ST Convergence, Inha University, Incheon, Republic of Korea
  • 김덕한 Duk-Han Kim. Doctoral Student, Program in ET&ST Convergence, Inha University, Incheon, Republic of Korea
  • 김홍관 Hong-Kwan Kim. Adjunct Professor, Program in ET&ST Convergence, Inha University, Incheon, Republic of Korea
  • 천영우 Young-Woo Chon. Associate Professor, Program in ET&ST Convergence, Inha University, Incheon, Republic of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