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Smoke Removal Equipment in Plant Facilities Using Simulation
초록
영어
Purpose: In this study, in order to ensure the evacuation safety of plant facilities,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ight of smoke removal boundary walls, the presence or absence of smoke removal equipment, and evacuation safety. Method: Using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s, evacuation safety was analyzed through changes in the height of the smoke removal boundary wall, air supply volume and exhaust volume according to vertical dista. Result: In the case of visible drawings, if only 0.6m of boundary wall is used, the time below 5m reaches the shortest, and 1.2m of boundary width is 20% longer than when using smoke removal facilities. In the case of temperature, 1.2m is 20% longer than 0.6m when only the boundary width is used without smoke removal facilities.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increasing the length of the smoke removal boundary wall could affect visibility, and installing a smoke removal facility would affect temperature.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an appropriate smoke removal plan and smoke removal equipment should be install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characteristics.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플랜트 시설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연경계벽의 폭 및 제연설비의 유 무와 피난 안전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제연경 계 벽의 폭, 수직거리에 따른 급기량, 배기량의 변화를 통해 피난 안전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 도의 경우 경계벽 0.6m 만을 사용한 경우 5m 이하로 되는 시점이 가장 짧게 도달하였으며 제연경계 폭 1.2m와 제연설비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20%긴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의 경우 제연설비를 사용하 지 않고 경계 폭만 사용하였을 때 0.6m 보다 1.2m가 20%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제연 경계벽에서 는 온도를, 제연설비에서는 가시도의 영향을 줄일 수 있으나, 반대로 제연 경계벽의 길이를 길게 하였을 때 가시도의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제연설비를 설치하였을 때 온도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공정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제연계획과 제연 설비를 설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서론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플랜트 시설물 모델링
화재시뮬레이션 입력 변수
결과 분석
가시도
온도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