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kind of ideological foundation “Sukhyangjeon” has. Revealing that a work is based on a certain ideology is a very difficult matter, but we pay attention to it as it is an important thing that must be passed in order to interpret the work. This discussion corresponds to an intensive exploration of the work with the purpose of revealing what ideas served as the basis for the work. The work consists of two structures: a toric structure and an illustration structure. The structure is that Sukhyang commits a sin in the transcendental world, comes down to the real world, undergoes a process of suffering, and then returns to the transcendental world. Additionally, illustrations continue to appear as characters and events unfold in a circular manner. This two-dimensional narrative structure has aspects based on Buddhist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Dependency theory understands everything as consisting of interdependence, correlation, cause and effect. It is confirmed that the work accepted this acting theory and used it as a narrative structure. If the work is understood according to the theory of acting, the basic foundation of the work is the Buddhist worldview, which results in the work having meaning based on it. At the same time, the work has the meaning of being composed in a format that attempts to make it into a full-length film in order to properly embody the Buddhist theory of acting. Additionally, the work has the meaning of capturing the reality and essence of human life through the combination of affection and suffering.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숙향전」이 어떤 사상적 기반을 가진 작품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어떤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것은 상당히 까다로운 문제이지만 작품을 해석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중요할 것으로 보고 주목한다. 이 논의는 작품의 기반으로 작용한 사상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이루어지는 작품에 대한 집중적인 탐색에 해당한다. 작품은 원환구조와 삽화구조인 두 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숙향이 초월계에서 죄를 짓고 현실계에 내려와 고난의 과정을 밟다가 다시 초월계로 돌아간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물과 사건 등이 원환으로 전개되는 과정에서 삽화가 계속해서 나타난다. 이와 같은 두 차원의 서사구조는 불교의 연기론에 관련된 측면을 갖고 있다. 연기론에서는 상호의존성과 연관성 및 원인과 결과로 이루어진 것으로 모든 것들을 파악한다. 작품은 이런 연기론을 수용하여 서사구조로 삼았음이 확인된다. 연기론에 따라 작품을 파악한다면 작품은 구성의 기본적인 토대를 불교적 세계관을 활용하여 그것에 따른 작품의 의미를 제대로 실현해 놓는다. 그러면서도 작품은 불교의 연기론(緣起論)을 제대로 구현하려고 장편화를 시도하는 형식으로 구성했다는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작품은 애정과 고난의 결합을 통해 인간의 삶에 대한 실상과 본질을 담아냈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목차
1. 서론
2. 서사구조의 두 차원
3. 서사구조의 불교사상적 측면
4. 사상적 기저로 본 작품의 의미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