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논문 수운 최제우 탄신 200주년

수운 최제우 사상의 발전 계승과 의미 - 시천주 개념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succession of Suun Choi Jewoo’s thoughts and their meaning : Focusing on the concept of Sicheonju

김용휘

동학학회 동학학보 제69호 2024.03 pp.39-72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uun Choi Jewoo’s Donghak ideas were inherited and developed by his successor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we looked at how it was expanded, deepened, or transformed by subsequent successors, focusing on the concept of Sicheonju(侍天主). Su-un’s concept of Si-Cheon-ju, which emphasizes the experience of internal spirit and external energy, was later expanded externally to the idea of ‘parents of heaven and earth’(天地父母) in Haewol, while internally internalized to the idea of ‘Mind is God’(心卽天). Uiam Son Byeong-hee’s ‘Innaecheon (人乃天)’ can be seen as a developmental deepening of the concept of Sicheonju(侍天主), although there are aspects of it that responded to the needs of the time. Meanwhile, Lee Don-hwa, who reinterpreted Donghak by accepting Western philosophy and evolution theory, defined Donghak’s cosmology as the theory of ‘Jigi-monism(至氣一元論)’. He denied the personality of God and understood it as the idea of eternity in the human mind and as the creative mind of God. On the other hand, Kim Ki-jeon again developed a theory of practice emphasizing the ‘experience of Sicheonju.’ In conclusion, the history of Donghak ideology after Suun Choi Je-woo can be said to be a history of expansion and deepening of the concept of Sicheonju and constant efforts to put it into practice in real life. In the process, it can be said that Donghak thought has deepened as the two elements of ‘Experience of Sicheonju’ and ‘Awareness of Innaecheon’ complement each other. The dynamism of the two concepts of Sicheonju and Inaecheon is a very important ideological asset of Donghak and Cheondogyo. The dynamism of the two concepts of Sicheonju and Inaecheon is a very important ideological asset of Donghak and Cheondogyo. When these two concepts work in a complementary manner, the hermeneutical possibilities of Donghak and Cheondogyo ideas will become even richer.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수운 최제우의 동학 사상이 이후 후계자들에 의해 어떻게 계승, 발전되었는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 시천주(侍天主)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것이 이후의 계승자들에게 어떻게 확장·심화, 또는 변주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내유신령과 외유기화의 체험이 중시된 수운의 시천주 개념은 이후 해월에 와서 밖으로는 ‘천지부모(天地父母)’의 사유로 확장되는 한편, 안으로는 ‘심즉천(心卽天)’의 사유로 심화된다. 의암 손병희에 와서 ‘인내천(人乃天)’이 시천주를 대신하게 되었는데, 이는 당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한 측면도 있지만, 시천주(侍天主) 개념의 내재적 발전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서양철학과 진화론을 수용하여 수운사상을 진화론적으로 해석하였던 야뢰 이돈화는 동학의 우주론을 지기일원론(至氣一元論)으로 규정하는 한편, 신을 인간의 정신 속에 있는 무궁에 대한 관념, 창조적 천심으로 이해하면서 인간의 주체적 자각을 보다 강조하였다. 반면 김기전은 다시 ‘시천주 체험’을 강조하는 수도론을 펼치기도 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운 최제우 이후의 동학의 사상사는 시천주의 개념에 대한 확장과 심화, 그리고 그것을 끊임없이 현실의 삶에서 실천하려고 했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시천주의 체험’과 ‘인내천의 자각’이라는 두 요소가 서로 길항하면서 동학사상이 심화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시천주와 인내천 두 개념이 가지고 있는 역동성은 동학·천도교의 매우 중요한 사상적 자산이다. 그 중의 어느 한 쪽이 강조되기 보다는 상호 보완적으로 길항할 때, 동학·천도교 사상의 해석학적 가능성은 한층 더 풍부해질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말
2. 수운의 종교체험과 사상의 핵심
3. 해월의 계승-시천주의 확장과 심화
4. 손병희의 인내천-하늘과 인간의 존재론적 동일성 자각
5. 이돈화의 진화론적 수운주의와 김기전의 시천주 체험
6.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휘 Yonghwi Kim. 대구대학교 교양교육센터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