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조대왕능행차에 투영된 한과 신명의 축제문화

원문정보

Han(恨) and Shinmyeong(神明) festival culture reflected in the royal procession of King Jeongjo

염원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ought to look at the value of the King Jeongjo Tomb Procession, a festival spanning Seoul and Gyeonggi-do,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culture. This festival, which has the achievements of King Jeongjo and the practice of filial piety as its core discourse, is also a cultural heritage inherent in the spiritual culture of Shinmyeongpuri against the background of shamanic culture. The key to this discussion is the deification of Crown Prince Sado. The shamanic tradition of deifying beings who died unjustly has sublimated the death of Crown Prince Sado to another meaning, so Crown Prince Sado still appears in rites as a deity called Byeolsang and comforts humans. King Jeongjo's tomb performance in the 18th century was a medium through which the common people could experience King Jeongjo's feelings communally, and it was a place for exhilaration in that it served as a ‘board’ through which a person's resentment and wishes were transferred. In addition, citizens living in the present can experience another level of exhilaration by recalling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Crown Prince Sado and King Jeongjo and the pain and will of King Jeongjo through the procession to King Jeongjo's tomb every October, thereby gaining communal affection. In this respect, it is believed that the sentiment of Han, symbolized by Crown Prince Sado, and the role of exorcism played by King Jeongjo's tomb could serve as another discourse that should be continued not only for the 18th century's grassroots, but also in the modern festival, King Jeongjo's Tomb Proc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를 아우르는 축제인 정조대왕능행차의 가치를 종교 문화의 측면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정조의 업적과 효의 실천을 핵심 담론으 로 하는 이 축제는 무속문화를 배경으로 신명풀이의 정신문화가 내재한 문화 유산이기도 하다. 이러한 논의의 열쇠는 사도세자의 신격화이다. 억울하게 죽 은 존재를 신격화하는 무속의 전통은 사도세자의 죽음을 또 다른 의미로 승화 하였기에, 사도세자는 지금도 별상이라는 신으로 굿판에 등장하여 인간을 위무 한다. 18세기 정조의 원행은 기층민에게 정조의 심정을 공동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매개체였고, 한 인간의 한과 소망이 전이되는 하나의 ‘판’으로 작용하 였다는 점에서 신명풀이의 장이었다. 또한 현재를 살아가는 시민들은 매년 10 월 정조대왕능행차를 통해 사도세자와 정조를 둘러싼 역사적 사실과 정조의 고통과 의지를 떠올리며 공동체적 애정을 갖게 되면서 또 다른 차원의 신명풀 이를 경험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사도세자로 상징되는 한의 정서와 정조의 원행이 가졌던 신명풀이적 역할은 18세기 기층민에게는 물론이고, 현대 축제인 정조대왕능행차에서 지속되어야 할 또 하나의 담론으로 자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사도세자 신격화에 구현된 무속의 세계 인식
1. 한 맺힌 죽음에 대한 무속의 인식
2. 무가에 나타난 사도세자 신격의 위상과 경기 남부와의 관련성
Ⅲ. 정조대왕능행차의 신명의 축제로서의 가능성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염원희 Youm, Wonhee. 경희대학교 한국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