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영향요인 : 산화스트레스 지표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 Focusing on oxidative stress indicators

김상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gnitive impairment occurs frequently up to 80% in the patients with stroke and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rognosis after stroke. In this study, 8-OHdG in urine and MDA concentration in bloo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function in acute stroke patients. 274 (40.1%) of all subjects of acute stroke showed cognitive decline, and 8-OHdG in urine and MDA concentration in blo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cognitive function group. In addition, 8-OHdG and blood MDA concentrations in urine in oxidative stres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crease cognitive impairments (p<.005). Cognitive impairment in acute stroke patients is mainly related to the short- and long-term prognosis of the disease and must be intervention early,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bjective biomarkers related to oxidative stress in the patients

한국어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최대 80%까지 발생하는 빈번한 장애로 뇌졸중 후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사고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영향요인으로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소변내 8-OHdG와 혈중 MDA 농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초 증상 발현 3일 이내의 급성기 뇌졸중 대상자의 40.1%(274명)이 인지기능 저하로 나타났고 소변내 8-OHdG와 혈중 MDA 농도가 인지기능 정상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산화스트레스 상태의 소변내 8-OHdG와 혈중 MDA 농도는 인지기능 저하를 유 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는 질병의 장단기 예후와 주요하게 연관되어 조기에 중재되어야 하므로 인체내 산화스트레스 관련된 객관적인 생체지표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및 대상
2.2 연구도구 및 측정
2.3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4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 및 질병관련 특징
3.2 인지기능 저하 유무에 따른 소변내 8-OHdG와 혈장 MDA 수준
3.3 인지기능 저하의 영향요인으로써 소변내 8-OHdG 지표와 혈장 MDA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상희 Sanghee Kim.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