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Model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for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Experience

원문정보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 관리 활동 구조모형

Jae-Woo Oh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that describes patient safety incident management activities for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uses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safety culture climate-safety behavior model as conceptual bases, proposes a hypothetical model of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incident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verifies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and hypotheses through the collected data.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nursing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model is appropriate and that patient safety management attitude,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motivation are predictors of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ffective patient safety incident management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students so that nursing students can perform correct patient safety management behaviors from the clinical practice site to the clinical practice site after gradu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how to continuously lead such education programs to the practice site.

한국어

본 연구는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사고관리 활동을 설명하고 Ajzen의 계획된 행위이 론 및 안전문화 풍토-안전행동모형을 개념적 기틀로 하고, 문헌고찰을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사고관리활동의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방정식 모형 구축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임상실 습 경험이 있는 간호대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모형은 적합 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환자안전관리 태도,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동기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을 위해서는 임상 실습 현장에서부터 졸업 후 임상에 나가기 전까 지 간호대학생이 올바른 환자안전 관리행위를 올바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간호대학생 대상 효과적인 환자안전 사고관리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육 프로그램이 실무현장까지 연속성있게 이어지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1.1 The need for research
1.2 Research Objectives
2. Research Methods
2.1 Study design
2.2 Hypothesized Model of the Study
2.3 Research subjects
2.3 Research tools
2.4 Data Collection Methods
2.5 Data Analysis Methods
2.6 Ethical considerations
3. Research findings
3.1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3.2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metrics
3.3 Validate measurement model
3.4 Validate the goodness of fit of hypothesized models and analyze their effectiveness
4. Discussion
5.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REFERENCES

저자정보

  • Jae-Woo Oh 오재우. Professor, Dept. of Nursing, Konyang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