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대면학습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미디어멀티태스킹과 학습몰입이 자기조절 학습전략에 미치는 예측 요인

원문정보

Predictors of Multitasking and Learning Flow o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of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김자옥, 박아영, 김자숙, 김종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ong nursing universit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12 nursing university students in G metropolitan city and K city. The SPSS WIN 23.0 version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edia multitask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r=.45, p<.001), learning flow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r=.59, p<.001), and media multitasking and learning flow(r=.32, p<.001). Friendship satisfaction, media multitasking and learning flow explained 45% of the variance for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o increas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mong nursing university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ultiple interventions that enhance friendship satisfaction, media multitasking and learning flow.

한국어

본 연구는 비대면학습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미디어멀티태스킹, 학습몰입과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관계를 파악 하고 자기조절학습전략 예측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광역시와 K시 두 개 대학 의 간호대학생 212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0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자기조절학습전략 예측 요인은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비대면학습 환경에서 간호대 학생의 미디어멀티태스킹과 자기조절학습전략(r=.45, p<.001), 학습몰입과 자기조절학습전략(r=.59, p<.001), 미디어멀티 태스킹과 학습몰입(r=.32, p<.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우관계 만족도, 미디어멀티태스킹과 학습몰입은 자기조 절학습전략을 45% 설명하였다. 비대면학습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교우관계 만족도, 미디어멀티태스킹과 학습몰입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2.5 자료분석
2.6 연구의 제한점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미디어멀티태스킹, 학습몰입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정도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전략의 차이
3.4 대상자의 미디어멀티태스킹, 학습몰입과 자기조절학습전략 간의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예측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자옥 Ja-Ok Kim. 원광보건대학교 간호학과 부교수
  • 박아영 A-Young Park.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시간강사
  • 김자숙 Ja-Sook Kim. 군산대학교 간호학부 조교수
  • 김종혁 Jong-Hyuck Kim. 중원대학교 뷰티케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