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시베리아출병이라는 트라우마가 가져다준 ‘인재’ ― 관동대지진 조선인학살의 전사 ―

원문정보

‘Man-made disaster’ Caused Due to the Trauma of the Siberian Intervention

김병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re than 10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massacre of thousands of Koreans occurred in Japan by Japanese vigilantes, police, and military amid rumors about Koreans immediately after the earthquake in Kanto, Japan, on September 1, 1923. The present paper considers the background of the government's presumption to rely on “fear-to-overreaction” which cannot be solved through prejudice, discrimination, and contempt for the colonized. This paper also focuses on the image of the Koreans that changed in the experience of the Siberian Intervention. The prejudices of the security authorities, based on the representations of the “Koreans” and “socialism,” in relation to the redistribution of power that emerged in Russia at that time led the public and the security agencies to commit chauvinistic acts. However, a rumor can only be created when the objective conditions for its spread are present. The security agencies' prejudice fueled a latent sense of fear among the military police and public, and led them to use force, reproducing the rumor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security authorities' representation of the “Koreans” = “red violence” = “socialism” that emerged immediately after the disaster, we sought to explore the origin of the mental state of the military and vigilantes who were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massacre at the scene.

한국어

1923년 9월 1일 일본 관동 지역에서 발생한 대지진 직후 조선인에 관한 유언비어가 퍼지는 가운데 일본의 자경단, 경찰, 군대에 의해 수천 명의 재일조선인이 학살당한 사 건으로부터 10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관동대지진 당시 혼란과 굶주림, 지진에 대한 공포 속에서 나타난 여러 가지 유언비어 중에서도 유독 조선인과 관련된 유언비어가 쉽게 전파되어 갔다. 하지만 유언비어는 그것이 퍼질 객관적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 으면 만들어질 수 없다. 그리고 여기에는 피식민지민에 대한 편견, 차별, 멸시라는 감정 으로는 풀 수 없는 점이 있다. 본고는 정부 당국의 예단과 이를 통해 조선인 관련 유언 비어가 확산된 것은 ‘공포에 의한 과잉 대응’에 있다고 보고, 그러한 공포심이 만들어진 배경으로 시베리아출병의 경험 속에서 바뀌어간 조선인 이미지에 주목해 보았다. 치안 당국의 ‘조선인’과 ‘사회주의’, 특히 당시 러시아에 등장한 적화 정권과 관련지 은 표상에 따른 예단이 치안 담당 기관은 물론 일반 민중들을 쇼비니즘적 행위로 나아 가게 했다. 하지만 유언비어는 그것이 퍼질 객관적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으면 만들 어질 수 없다. 치안 당국의 예단이 군경과 일반인들에게 잠재해 있던 공포감을 부추겨 유언비어를 재생산하면서 실력행사로 나아가게 했다. 치안 당국의 ‘조선인’=‘적화 폭 력’=‘사회주의’라는 표상이 진재 이후 바로 떠올랐던 배경과 현장에서 직접 학살의 주 체가 되었던 군대와 자경단의 심적 상태의 기원을 찾고자 하였다.

목차

<요지>
1. 머리말
2. 관동대지진 발생과 계엄령 선포
2.1. 구호를 위한 계엄령에서 ‘조선인 대책’을 위한 계엄령으로
2.2. 계엄령 적용과 ‘전쟁’ 상태의 육군 부대 전개
3. 시베리아 출병의 경험과 ‘조선인’상(像)의 변화
3.1. 시베리아 출병의 경과
3.2. 불령조선인과 과격파라는 연결고리
4. 맺음말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김병진 Kim, Byeong Jin.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조교수, 일본근대사상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