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놉 Nope> 속 외계 감시자의 시선 - 라캉의 스크린 이론과 푸코의 파놉티콘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Gaze of the Extraterrestrial Surveillant in the Film ‘Nope’ - An Analysis Centered on Lacan’s Screen and Foucault’s Panopticon

김태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s an analysis of the alien creature's gaze and surveillance in the film "Nope," grounded in Michel Foucault's "Discipline and Punish" theoretical framework. Utilizing Foucault's concept of the Panopticon, the film's portrayal of the extraterrestrial entity as a surveillant and its implications on the behaviors of the characters are illuminated. Additionally, the film's power dynamics of the gaz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amera and audience are scrutinized to understand the modulation of the cinematic experience. The surveillance depicted in 'Nope' transcends simple observation, metaphorically delving into voyeurism and the desire for unseen monitoring, thus mirror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surveillance and power in contemporary society. The research methodically dissects these notions through three principal themes: surveillance studies, the apparatus of spectatorship, and the representation of voyeurism and surveillance in cinema. It offers a critical viewpoint on the culture of surveillance in the current societal landscape, drawing parallels with other filmic and video art works that present various strategies to counteract such gazes, thereby proposing how media shapes the perception of surveillance in the modern age.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라캉의 거울단계와 스크린 이론에서 다루는 시선의 문제와 미셸 푸코의 "감시와 처벌" 이론을 바탕으로 영화 <놉> 속 외계 생명체의 감시와 역감시의 개념을 분석하였다. 푸코의 파놉티콘 개념을 통해, 영화에서 외계 생명체의 감시자 역할과 그로 인한 캐릭터들의 행동 변화를 조명하였다. 또한, 영화 속 시선의 권력 관계와 카메라와 관객의 상호작용을 통한 영화적 경험의 조절 방식을 검토하였다. 영화 <놉>에서의 감시는 단순한 관찰을 넘어서 관음증과 보이지 않는 감시의 욕망을 은유적으로 탐구하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의 감시와 권력의 복잡한 관계를 반영한다. 본 연구는 감시와 시선, 은유적 표현으 로써의 시선, 그리고 감시와 역감시라는 세 가지 주요 주제를 통해 이러한 개념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놉>을 통해 현대 사회의 감시 문화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한다. 또한 이러한 시선에 대응하는 여러 가지 방법론을 제시했다고 판단되는 다른 영화와 비디오 아트 작품들을 예로 들어, 현대사회에서 감시에 관한 인식이 미디어에 의해 어떻게 조명되고 있는지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2.1. 하나의 눈(One Eye)으로 마주보기
2.2. 위로부터의 시선과 스크린
2.3. 구름 뒤 시선과의 대결
2.4. 파놉티콘의 감시
2.5. 역감시
3.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태은 Kim, Tae Eun. 동양대학교 공연영상학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