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igital Image and Perceptual Realism in Films - Forrest Gump and Encanto

원문정보

영화의 디지털 영상과 지각적 사실주의 - <포레스트 검프>와 <엔칸토>

Snoussi, Soumaya, Kim, Mookyu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roduction of digital technology has allowed greater interactivity, variability and the creation of new imaginary worlds. The impact of digital images on media has led to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development in this industry. The shift to digital images has also changed the internal structure of film and the way audiences perceive film media. Digital technology has transformed film and television into qualitatively different media, with new possibilities for creation and perception. Through a study of the movies Forrest Gump (1994) and Encanto (2021), this paper explores how filmmakers can now write, storyboard, shoot and edit their films inside the box, without the need for external intervention. By considering a nested hierarchy of cues such as light, color, texture, movement and sound, a moving image can build verisimilitude and achieve perceptual fidelity. It is sufficient to generate the signified without a signifier, and to set cues that correspond to the audience’s own understanding and everyday life experiences. People sitting in front of computers are able to create alternative worlds, to design realities and thus themselves, by computing their senses into perceptions, emotions, desires and insights. This paper describes this context through the concepts of ‘perceptual realism’ and ‘digital apparitions’.

한국어

디지털 기술의 도입을 통해 상호작용성, 가변성 그리고 가상 세계의 창조와 같은 미디어 활용의 변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디 지털 미디어로 촉발된 변화는 양적 확장과 질적 발전으로 요약할 수 있다. 영화의 경우에도 그러하여 영화의 내적 구조와 관 객이 영화를 인지하는 방식도 변화하였다. <포레스트 검프>(1994)와 <엔칸토>(2021) 사례를 살펴보면서 본 논문은 영화제작 자들이 어떻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였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그 결과 영상제작자들은 여러 가지 기법을 동원하여 핍진성 있 고 또한 인간의 지각에 사실적으로 인지되는 영상을 창출하게 되었다.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기의 없는 기표가 창출되었으며 아울러 관객의 이해나 일상생활의 경험에 일치하도록 디지털 영상이 제작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 을 해석함에 있어서 컴퓨터 작업을 통해 일종의 대안적 세계가 창조될 수 있고 현실을 디자인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맥락을 ‘지각적 리얼리즘’ 개념과 ‘디지털 가상’ 개념으로 고찰하였다.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Introduction
2. Digital Imaging and Perceptual Realism
3. Designing the ‘Digitaler Schein’
4. Digitalized Mainstream Film
5. Non-occurring Reality in Forrest Gump
6. Animation Character in Encanto
7.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Snoussi, Soumaya PhD Candidate, Dept. of Media Communic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Kim, Mookyu 김무규. Professor, Dept. of Media Communic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