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raft Education Support Project to Spread Value of Crafts - Focusing on the Craft Education Project of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craft education support project to spread craft value, focusing on the craft education project ‘Happy Craft Education’ of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KCDF),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aft industry were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the ‘Happy Craft Education’ project, which started in 2022, and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derived by analyzing overseas cases. In fact, there were certain limitations in finding a justification for a support project carried out by public institution in the aspect that the project was biased toward acquiring craft skills or that similar programs were repe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were not revealed. Accordingly, the improvement measures necessary for the business structure, implementation organizations, and local craftsmen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business structure-oriented improvement plan,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criteria for selecting a project implementation organization with the goal of realizing the value of crafts rather than focusing on simple pract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planning programs carried out by the organization, performing organizations should conduct various studies and considerations, subdivide the form of education through prior research, education, and post-activity, and plan in various ways, such as not only craft experience, but also education development through research and post-activity such as marketization of created products. Finally, the improvement plan centered on local craftsmen should learn the expertise of educators through education for performing organizations, and thus seek learning to establish a philosophy of craft education and understand participants.
한국어
본 논문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공예교육 사업 ‘'행복한 공예교육'’을 중심으로 공예 가치 확산을 위한 공예교육지원사업 현황을 살피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공예산업의 특성을 알아보고 2022년에 시작한 ‘'행복한 공 예교육'’ 사업 현황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를 분석함에 따라 쟁점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실제로 사업이 공예기술 습득에 치우치거나 유사한 프로그램이 반복되며, 지역별 특성이 드 러나지 않는 등의 양상은 공적 기관이 수행하는 지원사업으로서의 명분을 찾는데 일정하게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사업구조와 수행단체, 지역공예가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 이 제시하였다. 먼저 사업구조 중심 개선방안으로는 사업 수행단체 선별 기준을 단순 실기교육을 중심으로 하기보다는, 공예의 가치 구현을 목표로 제시하고, 동시에 지역별 수행단체의 역량을 쌓아가 도록 장기적 전망을 줄 수 있도록 공모 차원에서 사업 목표를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보 았다. 수행단체 중심 개선방안은 수행단체가 기획프로그램 이외에도 다양한 연구와 고민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즉 기초형과 심화형으로 구분한 형태에서 사전 연구와 교육, 사후 활동으로 교육의 형태를 세분화하며, 공예체험만이 아니라 연구를 통한 교육 개발과 창작된 제 품 시장화라는 사후 활동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공예가 중심 개선방안은 수행단체에 대한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실제로 공예 가는 공예 분야 전문가로서의 전문성은 지니고 있으나, 대체로 교육자로서의 전문성을 학습 할 기회는 드물다. 이에 따라 공예가 대상 교육을 통한 공예교육 철학의 확립과 참여자 이해 를 위한 학습, 나아가 참여자가 공예체험을 통해 자신의 잠재력을 발견하고 개개인의 삶을 투영할 수 있도록 공예교육자로서의 면모를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Ⅱ. 공예산업의 특성 및 공예교육의 역할
1. 공예산업의 특성과 정책적 배경 및 흐름
2. 공예의 가치와 공예교육의 역할
Ⅲ.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공예교육 사업 사례연구
1. ‘'행복한 공예교육'’ 사업 개요 및 성과 분석
2. 해외 사례 비교분석
Ⅳ. 공예교육 지원사업 개선방안
1. 사업구조 중심 개선방안
2. 수행단체 중심 개선방안
3. 지역공예가 중심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