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설에 대한 정조와 정약용의 문답 속 평론 비교 - 성리학과 서학과 관련하여 -

원문정보

A Comparison Between King Jeongjo and Jeong Yakyong’s Comments in Their Question and Answer on Yi Hwang and Yi I’s Theory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 With Reference to Yi Nochun, Neo-Confucianism and Catholicism -

이종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Up to the present, research related to Jeong Yakyong’s review of Yi Hwang’s ideas about the mutual movement of liand qiand Yi I’s Four–Seven theory has focused on the movement of qiand liriding on qi. However, no research has addressed the debate between King Jeongjo and Jeong. This paper aims to fill that gap. In the debate, Jeongjo criticized Yi Hwang’s Four-Seven theory because he adhered to Yi I’s theory. Jeongjo regarded lias the principle of the movement of qi, which means that liand qicannot be separated, and he critiqued Yi Hwang’s theory on this basis. Jeong also agreed with Jeongjo’s view but regarded it as the dependence of lion qi.In this, Jeong was influenced by Matteo Ricci’s Tianzhu shiyiand possibly also by Ludovico Buglio’s Budeyi bian. A departure from Yi Byeok’s interpretation of Yi Hwang and Yi I is evident, although it was Byeok who introduced Jeong to Catholicism. Yi I’s and Jeong’s interpretations differ because Yi I claimed that the root of qicould be found in li. Jeong disagreed, but Jeongjo’s interpretation of Yi I is accurate. If Jeongjo knew that Jeong had been influenced by Tianzhu shiyi and Budeyi bian, he would have criticized him; however, Jeongjo was unaware, and he evaluated Jeong’s writing as the best because he considered Jeong to be a superior creative compared to Yi Nochun’s reply and that of Sungkyunkwan’s students.

한국어

지금까지 정약용의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설에 대한 해석을 연구한 논문이 있 었지만 정조의 질의와 정약용의 답변을 연구한 논문이 없었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그것을 연구한다. 정조와 정약용은 이이가 기는 발동하고 그 원인은 리라고 주장 했던 관점에 근거하여 이황의 사단은 이발(理發)이고 칠정은 기발(氣發)이라는 주장을 비판적으로 보았던 것이 공통점이다. 왜냐하면 이황의 그 설은 리와 기를 분리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황의 설은 주희의 설을 보완한 것이기 때문에 정 조의 비판은 주희의 설도 포함된다. 이에 대하여 정약용도 정조의 해석에 동의하 였으나 그는 리가 기에 의지한다고 여겨 이이의 이기설이 옳다고 여겼는데 그것은 천주교 선교사 이마두가 쓴 천주실의의 영향을 받았고, 선교사 이류사가 쓴 부 득이변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더욱이 그것은 정약용에게 천주교 를 소개한 이벽의 이황과 이이에 대한 평론과 달랐다. 하지만 이이는 정약용과 같 이 리는 기에 의지한다고 말하지 않았고, 오히려 무위(無爲)인 리가 유위(有爲) 인 기를 주재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정약용의 이이의 이기개념에 대한 해석은 이이의 뜻과 달랐다. 정약용과 달리 정조는 이이의 입장에서 그의 이기설을 정확 하게 해석하였다. 만약 정약용의 이이 이기설 해석이 서학서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았다면 비판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비판은 하지 않았고, 오히려 최고 라고 평가하였다. 왜냐하면 정약용의 그것이 이노춘을 비롯한 경사강의에 참여한 학자들의 답변과 성균관유생들의 답변서와 달리 창의적이라고 정조는 생각했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설에 대한 정조와 정약용의 문답속 평론 비교
2.1. 정조의 이황과 이이의 사단칠정설에 대한 질의 속 평론
2.2. 정약용의 답변 속 평론: 이노춘ㆍ이벽ㆍ『천주실의』ㆍ『부득이변』과 관련하여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종우 Yi Jongwoo.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HK+ 사업단, HK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