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대전환기, 삶의 성찰을 위한 문학과 문화 연구

근대 ‘문학’의 문자주의와 전통 ‘시가’의 가창성 - 『소년』의 글-시가 배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Literalism in Modern Literature and Traditional Poetry as Songs - Focusing on the Arrangement of Text and Poems in Sonyeon -

박슬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modern literature and its relation to traditional poetry.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song-lik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oetry and the singing community it has created are embedded in the modern writing–reading relationship. This is not to regard traditional poetry as the developmental cause of modern literature or as a field that developed independently from modern literature; rather, it is seen as a foundational background that integrates the twofold task of the modern literary concept of forming the national and individual subjects. In other words, it needs to be considered as a structural cause behind literalism, that is, as an absent cause and a structural cause that simultaneously endanger the text while being connoted within it. To this end,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dern subject and traditional poetry in Sonyeon. In scientific writing that emulates the question-and-answer style of writing from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combination of that style with the traditional poems that are inserted recreates an imagined singing community. However, imaginative recreation reinforces the writing subject’s isolation, leading the writer to insert communal cultural codes into their writing to realize collectivity. The subject’s experiential perspective is abstracted in the form of past communal customs, and consequently, the modern writer fails to acquire their “own” perspective, relying instead on externality, that is, the traditional auditory world, to establish themselves. In this light, the composition of singing intervenes in establishing the modern writing subject. The inner self is expressed with the help of songs from the past, and only through these songs can the inner self be revealed. Accordingly, the empathy of readers who know the songs is confirmed through “singing.” The individual as a literary subject thus becomes one that uses their voice to evoke the collective subject that constitutes the singing community and, in this context, serves as the “contemporaneity” that connects past traditions and future plans in their current position. Although the contemporaneity a travel essay writer generates may seem personal because it is based on their experience, it can actually perform a historical dual task as a collective subject. In this light, the singing relationship,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nger and the listener, is embedded in the writer–reader relationship. The singer-listener relationship becomes mutual through the spontaneity of sounds, and although sounds may soon disappear, the mutual relationship it creates survives. This is because the writer-reader relationship inspires “my” writing and is embedded in a relationship with the readers that “I” forged as the writing subject.

한국어

이 글은 근대문학 개념의 성립과 전통시가의 관련성을 고찰하면서, 전통시가의 가창성과 가창 공동체가 글쓰기와 글 읽기의 근대적 관계 속에 어떻게 내포되는가 하는 지점을 살핀다. 이는 전통시가를 근대문학의 발전론적 원인으로 보거나 혹은 근대문학과는 별개로 발전한 영역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근대문학 개념이 지닌 민족적 주체와 개인적 주체의 형성이라는 이중적 과제를 통합하는 배후적 근원으 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글은 전통시가를 문자주의의 배후에 있는 구조 적 원인으로서, 즉 문자를 위협하면서 동시에 문자에 내포되는 부재원인이자 구조 적 인과성으로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소년』의 글쓰기에서 근대 적 주체와 시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소년』에 수록된 자연과학적 글이나 기행문 등에서 근대적 글쓰기의 주체는 ‘자 기’만의 시각을 확보하지 못하고 외재성, 즉 전통적인 가청적 세계에 의지하여 자 신을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차원에서 가창의 구도는 글쓰기의 근 대적 주체의 성립 자체에 개입된다. 내면은 과거의 노래에 의탁하여 고백되는데 이 노래에 의거해서만 내면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또한 이는 그 노래를 아는 독자 와의 공감을 상정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개인이라는 문학적 주체는 노래 공동체 를 구성하는 집단적 주체를 자기의 목소리로써 반향하는 주체이자, 그러한 차원에 서 자기의 현재적 자리에 과거의 전통과 미래의 기획을 접합하는 ‘현재성’을 수행 한다. 즉 기행문의 서술자가 만들어내는 현재성은 경험적으로는 개인적이지만, 집 단적으로는 역사적인 이중 과제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가창의 관계 즉 부르고-듣는 관계는 쓰고-읽는 관계에 내포된 다. 부르고-듣는 관계는 소리의 즉각성을 통해 상호적 관계를 구축하며, 이때 소 리는 곧 사라지지만 소리가 만들어낸 상호 관계는 사라지지 않는다. 이 관계는 쓰 고-읽는 관계, 즉 나의 글쓰기를 추동하는 것으로서 글쓰기의 주체로서의 ‘나’가 상정하는 독자와의 관계에 내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목차

국문초록
1. 근대 ‘문학’의 문자주의와 전통시가의 가창성의 문제
2. 글-시가의 배치와 가창 공동체의 상상적 재현
3. 근대적 주체와 글쓰기에 기입된 가청적 세계
4. 주체가 반향하는 ‘목소리’: 글쓰기의 부재 원인으로서의 전통시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슬기 Park, Seulki. 서강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