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대전환기, 삶의 성찰을 위한 문학과 문화 연구

근대의 충격, 고전서사의 대응과 모색

원문정보

권순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근대 전환기를 맞아 고전서사는 ‘舊小說’이라는 다소 유폐적인 命名에도 불구하고 ‘근대’라는 낯설고 강력한 타자에 맞서 새로운 방식으로 생존의 길을 모색했다. 필사본 신작 고소설 <鄭氏福善錄>에서는 형식은 그대로 두고 새로운 내용을 수용하는 방식으 로 자주개화와 부국강병을 담을 수 있었으며, <병인양요>(1928), <녹두장 군>(1930), <이태왕실기>(1930) 등의 활자본 신작 역사소설에서는 당대의 문제인 쇄국정책을 비판하고 봉건정부의 무능과 부패, 외세의 침탈을 이야기로 만들어 나름대 로 ‘근대성’을 담고자 했다. 장르를 전환한 전래동화에서는 ‘동심천사주의’에 근거해 고소설의 풍부한 디테 일이 생략되어 현실의 구체적 모습을 온전히 형상화하지 못했기에 가치관이 전도 되는 현상이 일어났다. 매체를 전환한 영화의 경우 초창기부터 <춘향전>을 비롯한 고소설이 대거 활용되면서 조선영화의 판도를 주도했다. 무엇보다도 대중서사에 바탕을 둔 고소설의 익숙한 내러티브가 당시 사람들에게 호응을 주었기 때문이지 만 조선의 ‘이야기’에 조선 사람과 풍광이 등장함으로써 근대적 프레임 속에 비춰 진 자신들의 모습을 통해 조선의 정체성을 확인하기도 했다. 이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변개와 전환이 가능했던 것은 고전서사가 누구나 즐기 는 ‘대중서사’에 기반하고 있어서이다. 오랜 시간 모두에게 두루 통하는 ‘대중성’과 ‘통속성’을 지니고 있기에 근대화의 격랑 속에서도 대중들에게 널리 수용되어 굳건 하게 생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필사본 신작 고소설 <鄭氏福善錄>의 ‘자주개화’와 ‘부국강병
3. 활자본 신작 역사소설의 근대사 인식
4. 고전서사의 전래동화로의 변개와 ‘동심천사주의’
5. 고소설의 영화로의 변개와 정체성의 확인
6. 마무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순긍 세명대학교 명예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