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탐색적 논문

2030세대 도시와 국가 브랜드 인식 : 지각된 적합성과 관계성에 대한 탐색

원문정보

2030 Generation City and National Brand Perception : Exploring Perceived Fit and Relationships

문현지, 안순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ceived fit between National brand and City brand as well as Relationship with National brand on City brand evaluation. To establish and implement more effective strategy in the context of place brand structure,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coherence between national brand’s and city brand’s concept recognized by stakeholder. This study applied the factor of ‘perceived fit’ in brand extension strategy for confirming this effect on city brand evaluation. A between-subjects experiment using 2 (Relationship with national brand: High/Low) X2 (Perceived fit: High/Low) factorial design was used to test interaction effect on city brand evaluation. This study was able to demonstrate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coherence between parent and sub brands on the sub-brand evaluation within a place brand structure using perceived fit factors in brand extension strategy. Also, by confirming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perceived fi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 brand, it was found that rem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ands could serve as a communication cue for the brand evaluation.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a practical basis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communication strategy in place brand management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도시브랜드 전략 수립에 있어 국가브랜드와의 관계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장소 브랜드구조를 기반으로 실행한 도시 브랜딩이 강력한 브랜드 자산을 구축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논의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검증을 위해 브랜드확장 전략의 ‘지각된 적합성’ 요인을 적용하여 국가-도시 브랜드 간 중첩된 연상 이미지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브랜드 간 위계 구조를 인지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도시 브랜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관계성’ 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는 방한 관광객 중 주요 소비 타깃으로 떠오르고 있는 2030 세대 중국인을 대상으로 대한민국과 서울 브랜드에 대한 광고 실험물의 효과 검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대한민국-서울 브랜드 간 지각된 적합성 요인이 서울 브랜드 평가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두 요인 간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어, 대한민국-서울 간 관계성을 인지하고 있을 때 지각된 적합성 요인이 태도 형성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기적 관점에서 장소 브랜드구조를 구축하여 위계 브랜드 간 일관성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임을 실증적으로 밝힌 결과이며, 무엇보다 대한민국 브랜드구조 내에서 서울 브랜드의 개성과 포지셔닝을 고려한 전략이 유기적으로 실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서론
이론적 배경
1. 장소 브랜딩과 도시브랜드 전략
2. 브랜드 확장 전략과 지각된 적합성
3. 국가브랜드와의 관계성
연구문제 및 가설
연구방법
1. 연구 설계 및 절차
2. 주요 변인 측정
3. 실험 광고물의 조작 및 구성
4. 분석방법
연구결과
1. 자료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실험 광고물의 조작화 검증
3. 연구 결과
결론 및 논의
1. 연구결과 및 논의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부록>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문현지 Hyeonji Mun.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박사 과정
  • 안순태 Soontae An.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