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reviews and managerial responses, aiming to explore the necessity of webcare for efficiently managing consumer reviews. We intend to propose a methodology for effective webcare and to construct a webcare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based on an audiobook platform. In this study, we selected four audiobook platforms and conducted data collection and preprocessing for consumer reviews and managerial responses. We utilized techniques such as topic modeling, topic inconsistency analysis, and DBSCAN, along with various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analysis. The experimental results yielded significant findings in clustering managerial responses and predicting responses to consumer reviews, proposing an efficient methodology considering resource constraints and costs. This research provides academic insights by constructing a webcare model through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an efficient methodology, considering the limited resources and personnel of companies. The proposed webcare model in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strategic foundational data for consumer engagement and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ffering both personalized responses and standardized managerial responses.
한국어
본 연구는 소비자 리뷰와 관리자 답변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소비자 리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웹케어의 필요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적인 웹케어를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고 오디오북 플랫폼 기반의 머신러닝을 이용한 웹케어 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디오북 플랫폼 4개를 선정하여 소비자 리뷰와 관리자 답변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 토픽모델링, 주제불일치성, DBSCAN을 활용하고,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관리자 답변의 군집화 및 소비자 리뷰에 대한 답변 예측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자원의 제한과 비용을 고려한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머신러닝을 통해 웹케어 모형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며, 기업의 제한된 비용과 인력을 고려하여 웹케어 모형이라는 효율적인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실무적인 시사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웹케어 모델은 개별화된 답변과 표준화된 관리자 답변을 제공하여 소비자 참여 및 유용한 정보 제공을 위한 전략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웹케어(Webcare)
2.2 관리자 답변의 특성
2.3 개별화된 관리자 답변을 위한 웹케어모형의 기능 및 역할
Ⅲ. 연구 방법 및 프레임워크
3.1 데이터 수집 및 전처리
3.2 소비자 리뷰-관리자 답변 관계 탐색
3.3 웹케어 모형 구축
Ⅳ. 실험 결과
4.1 데이터 및 시각화 결과
4.2 리뷰-답변 관계 탐색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