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Variable Selection for Trade Facilitation and the Income Level of Trading Countries in Exports by Firm Siz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tepwise and Lasso Regression
초록
영어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to identify the vriables among the sub-dimensions of the OECD’s Trade Facilitation Indcx and the inocme level of trading countries, categorized as low, lower-middle, upper-middle, and high income, that affect the export amounts differentiated by firm size: large, medium sized, and small-to-medium sized enterprises. To achieve this, both Stepwise Regression and Lasso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with the export amount serving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ults from both methods were compared. The primary findings revealed that the variables commonly selected by both Stepwise Regression and Lasso Regression analyses include information availability, participation in the trading community, and internal cooperation for the exports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For large corporations, the variables determining the export amount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availability and internal cooperation. Additionally,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come level of trading countries identified that exports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upper-middle, lower-middle, and low income countries. Contrastingly, the Lasso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optimal variables compared to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uggesting a more concise model. This comparative analys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pecific trade facilitation factors and the economic status of trading countries in influencing export amounts, with a noted efficiency in model complexity reduction through Lasso Regr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기업 규모별 수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무역원활화와 교역국의 소득 수준의 하위 변수를 대상으로 변수선택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계적 회귀와 Lasso 회귀분석을 각기 적용 하여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종속변수는 대기업과 중견기업, 중소기업별 수출액, 독립변수는 OECD의 무역원활화지표(TFIs)의 11개 하위 차원과 교역국의 소득 수준을 저소득, 중저소득, 고중소득, 고소득 국가로 더미 변수화하였다. 주요 결과로 단계적 회귀와 Lasso 회귀분석에서 공통으로 선택된 변수는 중소기업 수출액의 경우, 정보 가용성, 무역공동체 참여, 내부협력, 중견기업 수출액은 정보 가용성, 무역공동체 참여, 사전심사, 자동화, 거버넌스와 공정성, 대기업 수출액은 정보 가용성, 내부협력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교역국의 소득 수준은 단계적 회귀분석에서 중소기업의 수출액에 대해서만 고중소득, 중저소득, 저소득 국가가 선택되었고 Lasso 회귀분석의 결과가 단계적 회귀분석이 비해 최적 변수의 수가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간결한 모형을 제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무역원활화와 수출
2.2 수출과 기업규모 및 교역국의 소득 수준
Ⅲ. 연구자료 및 방법
3.1 연구자료와 변수
3.2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4.1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4.2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4.3 Lasso 회귀분석 결과
Ⅴ. 결론
5.1 결과 요약 및 시사점
5.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