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생태체계적 관점에 따른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 영향요인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based on an ecological system perspectives among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This study was the data of 1,300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from the 16th Korea Welfare Panel Study. Using the SPSS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subjective health status(β= -.172, p<.001), self-esteem(β = -.395, p<.001), and family relation satisfaction(β= -.104,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influencing depression, and the total explanatory power was 36.4%. These ecological systemic factors may help community health professionals develop multilevel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depression in middle-aged postmenopausal women.
한국어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기반으로 폐경 후 중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 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50-64세 폐경 후 여성 1,300명이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우울의 영향하는 요인으로 주관적 건강수준(β=-.172, p<.001), 자아존중감(β=-.395, p<.001), 가족관계 만족도(β=-.104,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에 영향하는 각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6.4%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에 영향하는 생태체계적 요인들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향후 지역사회 보건의료인들 이 폐경 후 중년여성의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수준 중재 전략 개발을 위해 고려되어야하겠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3. 연구도구
4. 윤리적 고려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
2. 주관적 건강수준,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만족도 및 우울 수준
3. 주관적 건강수준,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만족도 및 우울 간의 상관관계
4. 주관적 건강수준, 자아존중감,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관계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