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농업분야의 용수 이용에 따른 사회간접영향 분석
초록
영어
Only the direct impact of damage occurring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quantitatively calculated, and no analysis method for the indirect damage impact is provi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upply shortage effect in the agricultural sector was analyzed using input-output analysis, a representative social indirect impact analysis method. The target year for the input-output table was 2015, when damage occurred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e agricultural sector selected the industrial sector of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ies products and applied five mountain-language correlation analysis model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en the output amount increased by 1 won, the induced production effects for the entire industry were 0.65441 won, the value-added inducement effects were 0.23756 won, and the employment inducement effects were analyzed to be 1 billion won, with 3.29854 people potentially employed. The supply shortage effect is a decrease of 2.39342 won in the entire industry, and the price-inducing effect is analyzed to increase prices by 6.79571% in the entire industry when the price of output increases by 10%.
한국어
농업분야에서 발생하는 피해는 직접적인 영향만을 정량적으로 산정할 뿐 간접적인 피해영향의 분석 방법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사회간접영향 분석방법인 산업연관분석 을 이용하여 농업분야의 농업용수 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산업연관표의 대상연도는 농업분야의 피해가 발생한 2015년을 선정하였다. 농업분야는 농림수산품의 산업분야를 선정하였으며 5가지의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산출액이 1원 만큼 증가하였을 때 전체 산업에 대한 생산유발효과는 0.65441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0.23756원이 취업유발효과는 10억원에 3.29854명의 취업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급지장효과는 전체 산업에서 2.39342원의 감소가 발생하며 물가파 급효과는 산출물의 가격이 10% 상승하였을 때 전체 산업에서는 6.79571%의 물가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산업연관분석의 개요
2. 산업연관분석 모형
Ⅲ. 농업분야의 산업연관모형 분석
1. 산업연관표의 농업분야 분류
2. 농업분야의 파급효과 분석
Ⅳ. 농업분야의 사회간접 경제적효과 분석
1. 사회간접 공급지장효과 분석
2. 사회간접 물가파급효과 분석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