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Quality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in COVID-19 New Infectious Disease Crisis Situation

원문정보

COVID-19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시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Jin Pyo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levels of social isola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he COVID-19 new infectious disease crisis situation,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quality of life. The study surveyed was 199 university students in K and C region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IBM SPSS Statistics 24.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was higher in the female. The higher the subject's social isolation and the higher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lower the quality of life. Additionally, the study revealed a completely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strategies are required to prevent social isolation and improve quality of life in university students, and the need for intervention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한국어

본 연구는 COVID-19 신종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고립감, 우울,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사회적 고립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K도, C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regression 를 SPSS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우울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여성일수록 우울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회적 고립감이 높을수록, 우울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또한, 사회적 고립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우울은 완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하여 대학생의 사회적 고립감 예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이 요구되며, 우울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중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수집방법 및 윤리적 고려
5.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대상자의 사회적고립감, 우울, 삶의 질 정도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고립감, 우울, 삶의 질
4. 대상자의 사회적 고립감, 우울, 삶의 질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사회적 고립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in Pyo Lee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U1 University, 310, Daehak-ro, Yeongdong-eup, Yeongdong-gun, Chungcheongbuk-do,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