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고화질 영상시청 경험이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개선에 미친 영향 연구 : 영상시청 자극에 대한 회복탄력성과 뇌파 생체신호 분석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 of High-Definition Video Viewing Experience on the Improvement of Post-Traumatic Stress(PTSD) due to COVID-19 : Focusing on the Resilience of Video Viewing Stimuli and the Analysis of Brain Wave Bio-signals

한예진, 최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pilot-level experimental study to determine whether watching landscape videos induces emotional and physiological improvement effects in subjects experiencing post-traumatic stress (PTSD) due to COVID-19. Post-traumatic stress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 clinical psychology expert. The image used as a stimulating tool was an ultra-high-definition image (4K) taken for experiments abroad and domestically, and UHD-TV was used.The treatment of the stimulus video (filming and editing conditions, video experiment conditions) applied the video design of the Screen Therapy research team conducted from 2019 to 2021. The subjects were provided with a four-week video viewing experience, and data analysis was attempted by measuring the pre- and post-written questionnaires and EEG biosignals. The results of the ‘resilience’ measurement, a self-report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after the test increased compared to the test beforehand,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measuring brain wave biosign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alpha wave level in the left brain was high enough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lpha (Absolute Aplha) waves in the T3 and T4 regions, which are the temporal lobes of the left and right brains, during the preliminary measurement. However, after watching the video for 4 weeks, a decrease in alpha wave levels in the left hemisphere was confirmed, and the average alpha wave levels in each region of the left and right brains T3 and T4 were at similar levels and the values were balanc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iscovered the possibility that watching videos can help reduce the imbal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brain, which is one of the physiological problems of individuals experiencing emotional difficulties such as post-traumatic stress. In particular, it were able to see how the method of using video content of mixed landscape images as a mental image to replace painful memory images could have an impact on the post-traumatic trauma clinical group.

한국어

본 연구는 코로나-19(COVID-19)로 인한 외상 후 스트레스(PTSD)를 경험하는 대 상자들에게 경관 영상시청이 정서 및 생리적 개선 효과를 유도하는지 확인하는 파일럿 차원의 실험연구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대상자 판별은 임상심리 전문가의 구조화된 설 문지를 사용하여 선발하였다. 자극도구로 사용된 영상은 해외와 국내에서 실험을 위해 촬영된 초고화질 영상물(4K)로 UHD-TV를 사용하였다. 자극 영상물에 대한 처치(촬 영과 편집 조건, 영상실험 조건)는 2019~2021년 실시된 영상치료 연구소(Screen Therapy) 연구팀의 영상설계를 적용하였다. 피험자들에게 4주간의 영상 시청 경험을 제공하고 사전과 사후에 작성한 설문과 뇌 파(EEG)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데이터 분석을 시도하였다. 자기보고식 설문인 ‘회복탄 력성’ 측정의 결과는 사전에 비해 사후 평균 수치가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는 않았다. 뇌파 생체신호의 측정 결과, 사전 측정시에는 좌뇌와 우뇌 측두엽 부위인 T3와 T4부위의 알파(Absolute Aplha)파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일 정도로 좌뇌의 알파파 수치가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4주간의 영상시청 후 좌뇌의 알파파 수치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고 좌우뇌의 T3와 T4각 부위의 알파파 평균은 비슷한 수준으로 수치는 균형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영상 시청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같은 정서적 어려움을 경험하는 개인의 생리적 문제 중 하나인 좌우 뇌의 불균형 지수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고통스러운 기억 이미지를 대체하는 심상 이미지로서 혼합된 경관 이미지의 영상 콘텐츠를 활용하는 방법이 외상 후 트라우마 임 상군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1) 영상 콘텐츠 시청을 통한 심리적 개선
2) 외상 후 스트레스(PTSD)와 영상을 활용한 심상 이미지 치환
3) 외상 후 스트레스(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정서와 정량뇌파(QEEG) 분석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및 분석절차
1) 연구대상 선정 및 측정도구
2) 실험진행과 분석절차
5. 연구결과
6.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예진 Ye Jin Han.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사
  • 최영준 Young Jun Choi.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