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건

노인의 사회적 활동이 음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원문정보

A Longitudinal Study of the Impact of Social Activity on Drinking in Older Adults

임진섭, 김다빈, 유정호, 정호영, 박재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longitudinal study of drinking older adults aged 65 and older to determine how their social activities and alcohol consumption change over time, and how social activities affect alcohol consumption among drinking older ad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a decrease in social activity and alcohol consumption among the elderly over time,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rate of change in social activity and alcohol consumption were found, and the specific factors of these individual differences were examined in the conditional model. The results of the conditional model showed that, for social activity, the higher the initial level of social activity, the older the age, and the lower the initial amount of alcohol consumed by men than women. Next, for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the better the health status, the more the amount of alcohol consumed decreased significantly for male elderly than female elderly, smokers than non-smokers, and elderly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to promote social activities and reduce drinking among the drinking elderly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65세 이상 음주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활동과 음주량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패턴을 갖는지 그리고 사회활동이 음주노인의 음주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종단연구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이 지나면서 음주노인의 사회활동과 음주량은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사회활동과 음주량의 변화율에 대한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개인차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가를 이후 조건적 모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조건적 모형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사회활동의 경우 초기 사회활동 정도가 높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여자보다는 남자노인이 초기 음주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 났다. 다음으로 음주량의 경우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여자노인보다는 남자노인이, 비흡연자보다는 흡연자가, 장애가 있는 노 인보다는 없는 노인이 이후 음주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음주노인의 사 회활동을 촉진하고 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ㅤ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2.2 변수의 측정
3. 분석방법
4. 분석결과
4.1 주요변수의 특성
4.2 상관관계 분석결과
4.3 잠재성장모형 분석결과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임진섭 Jin-Seop Lim. 국립안동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다빈 Dabin Kim. 국립안동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과 학부생
  • 유정호 Jungho Yoo. 국립안동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과 학부생
  • 정호영 Hoyoung Jung. 국립안동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과 학부생
  • 박재현 Jae Hyeon Park. 국립안동대학교 아동·사회복지학과 학부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